플라톤의 <국가> 강해(75)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플라톤의 <국가> 강해(75)
C. 철인통치자의 교육 목표와 교과목(502c-541b)
5. 혼의 전환과 참된 실재로의 상승을 위한 교과목들(제7권 521c-541b)
1) 예비 교과목(521c-531c)
* 천문학(528e-530c), 화성학(530d-531d)
[528e-530c] 천문학
* 소크라테스는 세 번째 배울 거리로서 입체기하학을 건너 뛰어 천문학에 대한 논의로 다시 돌아와 그것을 네 번째 배울 거리로 제시한다. 그러자 글라우콘은 조금 전 천문학을 천박하게φορτικῶς 예찬했던 것을 반성하고 소크라테스가 접근하는 방식으로 천문학을 예찬하겠다며 천문학이 ‘영혼을 강제해서 위쪽τὸ ἄνω을 보게 하고 그쪽으로 인도해간다’ἄγει는 것은 모두에게 분명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말 또한 소크라테스의 동의를 얻지 못한다. 소크라테스는 오늘날 남들을 철학으로 인도하는ἀνάγοντες 이들처럼 천문학을 다룰 경우 반대로 그것은 완전히 아래κάτω를 보도록 만들 것이라고 말한다.(528e-529a) 이에 글라우콘이 당혹해하자 소크라테스는 위쪽의 것들에 대한 배움μάθησις과 관련하여 누군가가 고개를 젖혀서 천장ὀροφή의 장식ποίκιλμα들을 구경하고서 뭔가를 배운다면 그는 지성적 이해νόησις를 통해 구경하는 것θεωρεῖν이지 눈으로 구경하는 것이 아닐 것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있는 것’τὸ ὄν과 ‘보이지 않는 것’τὸ ἀόρατον에 관한 배울 거리만이 영혼을 위를 보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앎ἐπιστήμη이란 그런 것들에 대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529a-b) 이에 글라우콘은 천문학을 배움에 있어 오늘날과 상반되는 방식으로 배워야 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묻는다.(529c) 이에 소크라테스는 하늘에 있는 장식들ποικίλματα은 비록 눈에 보이는 것 중에서는 가장 아름답고 가장 정확한 것들ἀκριβέστατα이라고 여겨지긴 하지만, 참된ἀληθινός 것들에 비하면, 즉 참된 수ἀριθμός와 모든 참된 도형σχῆμα들의 영역에서 ‘있는 것’으로서의 빠름과 ‘있는 것’으로서의 느림이 ‘상호간의 관계 속에서’πρὸς ἄλληλα 움직이기도 하고 그 안의 것들을 움직이게 만들기도 하는 그런 운동φορά에 비하면 한참 모자라는 것ἐνδεῖν으로 그것들은 이성λόγος과 사고διανοίᾳ에 의해서 파악되지ληπτά 시각ὄψις으론 파악되지 않는다고 말한다.(529c-d)
* 하늘에 있는 장식은 마치 누군가가 다이달로스나 다른 어떤 장인δημιουργός 혹은 화가γραφεύς가 아주 뛰어난 솜씨로 그렸거나 공을 들여 만든 도식διάγραμμα들을 만났을 때 하듯이 그런 참된 것들에 관한 배움을 위한 표본παραδείγμα으로 이용해야 한다.(529d) 그러나 기하학에 경험이 많은 사람이라면, 화가나 장인들이 만든 도식들을 보고서 아주 아름답게 만들어졌다고는 생각하겠지만 그것들을 가지고 같음, 두 배, 혹은 다른 어떤 비례관계συμμετρία 등에 대한 진리ἀλήθεια를 파악하겠다고 그 도식들에 매달려 진지하게 고찰하는 것은 우스운 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529e)
* 진정으로τῷ ὄντι 천문학에 밝은 사람ἀστρονομικός은 별들ἄστρον의 운동들φορὰς을 보고서 동일한 반응을 보일 것이다. 그는 그러한 것들이 가능한 한 가장 아름답게 구성되도록 하늘의 제작자δημιουργός가 하늘과 그 안에 있는 것들을 구성했다고 믿을 것이다. 하지만 밤과 낮 사이의 비례συμμετρία, 이것들과 한 달 사이의 비례, 한 달과 일 년 사이의 비례, 이것들과 다른 별들 사이의, 그리고 별들 사이의 비례와 관련해서 어떤 사람이, 이것들이 몸체σῶμά를 가지고 있고 눈에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ταῦτα ἀεὶ ὡσαύτως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도 결코 이탈παραλλάττειν하지 않는다고 믿고서, 이것들에 관한 진리ἀλήθειαν를 얻고자 모든 방식으로 탐구ζητεῖν한다면, 그것은 이상한ἄτοπος 일이라고 생각할 것이다.(530a-b)
*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천문학도 기하학처럼 문제πρόβλημα들을 사용하면서 접근해야 하고, 지금 쓸모없는 상태에 있는 영혼 안의 본성상 현명한φρόνιμος 부분을 쓸모 있는χρήσιμος 것으로 만들고자 한다면 하늘에 있는 것들은 내버려 두어야 한다ἐάσομεν고 말한다. 이에 글라우콘은 소크라테스가 오늘날의 천문학에서 행해지고 있는 것보다 몇 배나 되는 일을 지시하고 있다고 말한다.(530b-c)
[530c-531d] 화성학
* 천문학에 관한 이야기를 마무리한 후 소크라테스는 글라우콘에게 적합한 배울 거리로 추가로 제안할 만한 것이 있는가를 묻고 그가 당장에 그럴 만한 것이 없다고 답을 하자(530c) 예비적인 배울 거리의 끝으로 아래와 같이 화성학을 제시한다. 소크라테스는 우선 ‘운동’φορά에는 하나ἕν가 아니라 여러πλείων 종류가 있는데 피타고라스 사람들이 주장하고 우리도 동의하듯이 눈ὄμμα이 천문학에 맞춰져 있듯이 귀οὖς는 화음이 있는ἐναρμόνιος 운동φορά에 맞춰져 있으며, 이것들은 서로 ‘일종의 자매 학문’ἀδελφαί τινες αἱ ἐπιστῆμαι이라고 말한다.(530d) 그리고 이제 화성학 또한 큰 일거리πολὺ τὸ ἔργον로 다루되 아까 일부 천문학자들이 그랬듯이 화음ἁρμονία에 관해서도 사람들이 귀에 들리는 화성συμφωνία과 소리φθόγγος들을 서로 비교하고 재는 일 같은 쓸데없는 일은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530e) 그러자 글라우콘은 조밀음정’πύκνωμα이니 최소음정ἠχὴ σμικρότατον이니 뭐니 하는 이름을 붙이고 서로들 논쟁을 벌이며(531a) 지성νόος보다 귀를 우선시하는 사람들이 그런 사람들이라 말한다.
*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화음에 관해서 묻겠다고 한 사람들은 그런 사람들이 아니라 천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동일한 일을 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한다.(531b) 그들은 화성을 이루는 것으로 들리는 이 소리들 안에 있는 수들을 탐구하긴 한다. 그러나 그들은 어떤 것들이 화성을 이루는 수이고 어떤 것들이 그렇지 않으며 각각의 이유는 무엇인지를 고찰하기 위해 문제들προβλήματα의 차원으로 올라가지 않는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이에 글라우콘이 신령스러운δαιμόνιος 일을 말씀하신다고 반응하지만 소크라테스는 그래도 그것은 아름다운καλός 것과 좋은ἀγαθός 것에 대한 탐구를 위해서는 쓸모 있는χρήσιμος 것이라 말한다.(531c)
* 그런 연후 소크라테스는 지금까지 우리가 설명한 배울거리들에 대한 연구가 배울거리들 서로 간의 공통성κοινωνία과 친족관계συγγένεια를 밝히는 데까지 도달해서 그것들이 어떤 점에서 서로 동족적인οἰκεῖος지를 추론해내야 한다συλλογισθῇ고 말한다. 그래야 그런 작업이 우리가 바라는 바를 이루는 데 기여할 것이고 헛수고가 안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글라우콘은 어마어마한 일πάμπολυ ἔργον을 말씀하신다고 말하고 소크라테스는 그 모두가 본곡νόμος의 서곡προοίμιον에 지나지 않으며 이런 것들에서 대단한 사람들δεινοὶ이라고 해서 아직 변증술에 능한 자들διαλεκτικοὶ은 아니라고 말한다.(531d)
* 이로써 예배적인 배울 거리에 대한 논의가 마무리되고 본 곡에 해당하는 변증술에 관한 논의가 이어진다.”
————————————-
* 528e ‘천문학이 영혼을 강제해서 위쪽을 보게 하고’ : 글라우콘은 ‘위쪽’을 지성의 영역으로서 위쪽이 아닌 눈에 보이는 위쪽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위쪽을 보고 있는 사람에 대한 예로서 이곳에서는 ‘위쪽을 향해 입을 벌리고 있는’ 사람과 ‘뭍에서든 바다에서든 드러누워 둥둥 떠다니면서 위쪽을 보고 있는’ 사람이 나온다.(529b-c) 그런데 이 모두 아리스토파네스가 <구름>에서 소크라테스를 풍자할 때 나오는 장면을 연상시킨다. <구름> 170-3에는 소크라테스가 입을 벌리고서 달의 운행을 관찰하는 장면이 나오고 또 219-26에는 공중에 매달린 바구니에 누워 천체를 바라보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이 나오기 때문이다. 그런데 플라톤이 만약 <구름>에서 아리스토파네스가 그린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염두에 두고 이곳에서 위쪽을 보고 있는 사람들을 그린 것이라면 우리로선 이해하기 힘든 혼란스러운 국면에 직면하게 된다. 왜냐하면 이곳에서 플라톤이 그리고 있는 사람들은 ‘위쪽을 보지만 사실은 아래를 보는 낮은 수준의 사람들’로 폄하되어 있는데 그것은 곧 플라톤 또한 아리스토파네스처럼 스승 소크라테스를 폄하하는 것이 돼 버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부분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플라톤이 그리고 있는 그 사람들은 <구름> 속 소크라테스가 아니라 그냥 묘사 과정에서 우연히 비슷하게 그려진 것일까? 그러나 플라톤이 <구름>을 모를 리가 없다. 그렇다면 이 장면은 소크라테스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아리스토파네스를 포함해서 그와 똑같은 수준에서 위쪽을 말하고 글라우콘 모두에게 아리스토파네스의 풍자를 그대로 되돌려 주려한 것은 아닐까? 실제로 글라우콘은 수학과 기하학을 거쳐 세 번째 배울 거리로서 천문학에 이르렀음에도 여전히 아리스토파네스가 소크라테스를 바라보는 방식과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천문학을 잘못 인지하고 있다. 아무려나 확실한 것은 플라톤은 이곳에서 글라우콘의 대답을 방편 삼아 ‘위쪽을 보지만 사실은 아래를 바라보는 사람들’ 즉 천문학을 지성적으로 이해하고 있지 못한 사람들을 공격하고 있다는 점이다.
* 529a ‘오늘날 남들을 철학으로 인도하는 이들’ : 당시 자칭 철학자라고 하면서 순수 수학보다는 수사학 등 실용적인 분야를 중시했던 이소크라테스를 비롯해 히피아스 등 소피스트들을 가리킨다.(<프로타고라스> 318e, Isocrates, <Panergyricus> 26-28 참고) 그들은 천문학과 관련해서도 시각을 통한 관찰에 의지할 뿐 관찰 결과들을 추론적 사고를 통해 수학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 능력까지는 갖추지 못했다.
* 529c-d ‘참된 수와 모든 참된 도형들의 영역에서 ‘있는 것’으로서의 빠름과 ‘있는 것’으로서의 느림이 ‘상호간 관계 속에서’ 움직이기도 하고 그 안의 것들을 움직이게 만들기도 하는 그런 운동’ : 이 문장은 예비학으로서 천문학 또한 앞서 교과들과 마찬가지로 철저히 수학적 사고에 의해 파악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지만 내용적으로는 천체에 대한 육안적 관찰의 한계와 더불어 훗날 <티마이오스>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플라톤 우주론의 내용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플라톤의 <티마이오스>(38c-39c)에 따르면 천체들 모두는 철두철미 시종일관 수학적 비례와 기하학적 도형에 기초한 입체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것들의 운동 또한 수학과 기하학적 비례에 따라 정해진 기준에 따라 규칙을 갖고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육안으로 보면 불규칙한 운동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도 있다. 이를테면 수성과 금성의 경우 해가 뜨기 전에는 육안상 태양에 앞서고 해가 진 후에는 태양에 따라 잡히기도 하고 또 별들 상호 간에도 느림과 빠름 현상이 관찰된다. 하지만 그것들 모두는 별들이 동일성의 궤도와 비스듬히 교차해 있는 타자성의 궤도를 따라 운동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일 뿐이다. 필경 <국가> 이 부분에서 ‘빠름과 느림이 상호 관계 속에서 움직인다’는 언급은 <티마이오스>의 위와 같은 내용을 가리킬 것이다. 그러나 플라톤에 따르면 그러한 현상 역시 육안으로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실제로는 그것들 역시 – 물론 플라톤이 말하는 우주론의 실제는 오늘날 천문학적 지식과 큰 의 괴리가 있지만 – 일정한 수학적 규칙과 기준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다. 그럼에도 당대 천문학자들은 그러한 행성들의 불규칙한 운동을 관찰할 수 있었지만 그 이유에 대한 설명 즉 이성에 기초한 추론적 파악 내지 수학적인 해명은 엄두조차 내지 못 했다.
* 529d ‘참된 것들에 관한 배움을 위한 표본으로 이용해야 한다.’ : 기하학에 경험이 많은 사람과 화가나 장인들은 표본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표본paradeigma 자체는 서로 큰 차이가 있다. 기하학에 경험이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표본은 수학적인 대상 자체이지만 화가나 장인들은 기하학에 경험이 많은 사람들이 표본을 이용하여 만들어낸 것들 즉 한 단계 아래의 것들을 표본으로 이용하여 뭔가 도식들을 만들어낸다. 그러한 도식들에는 수학적 비례 관계 등에 대한 진리가 들어 있지 않다. 천문학에 밝은 사람들 역시 이처럼 이차적인 산물들 즉 별들에 대한 감각적 사실들을 가지고 뭔가 진리를 포착하려는 사람들을 우습게 여길 것이다. 하늘에 있는 별들은 그것대로 그냥 내버려 두고 기하학적 문제들을 다룰 때처럼 수학적인 방식으로 그것들의 참된 실재 즉 진리를 탐구해야 한다.
* 530b ‘지금 쓸모없는 상태에 있는 영혼 안의 본성상 현명한 부분을 쓸모 있는 것으로 만들고자 한다면’ : 이소크라테스 같은 사람들은 수학 교육보다는 당장 이익이 되는 실용 교육을 강조한다. 그러나 플라톤은 오히려 그러한 사람들의 영혼이야말로 곧 쓸모없는 상태의 영혼이라 말한다. 순수 이론으로서 수학이나 기하학, 천문학 같은 교과가 쓸모와 거리가 멀다는 생각은 그들이 말하는 쓸모의 관점에서도 그릇된 것이다. 오히려 수학 같은 순수 일반 이론들이 쓸모의 영역에서 특수한 영역에 한정하여 응용되는 응용 학문 보다 더욱 확장성을 갖고 있다. 흔히들 기초과학의 발전 없이는 어떠한 응용과학의 발전도 기대할 수 없다고 말하는 것도 그 때문이고, 글라우콘이 소크라테스의 말을 듣고 당대 실용 천문학에서 행해지는 것보다 몇 배나 되는 일을 지시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진정 쓸모 있기를 원한다면 순수 이론 분야를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진정한 쓸모는 이성과 사고를 통한 순수 이론 자체에 대한 보다 깊은 탐구를 통해 담보된다. 그러한 순수 이론들이야말로 마치 큰 저수지와 같아서 비로소 수많은 지류들 즉 부산물(527c)을 낳는 원천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곳에서 서곡으로서 수학과 기하학의 진정한 쓸모는 본곡으로서 최상의 순수 이론 즉 변증술을 위한 쓸모이다.
* 530d ‘눈이 천문학에 맞춰져 있듯이 귀는 화음이 있는 운동phora에 맞춰져 있으며, 이것들은 서로 일종의 자매 학문’ : 천문학의 자매학문으로서 ‘화성학’(和聲學)ta harmonika은 이곳에서 직접적인 명칭으로 제시되지는 않는다. 천문학과 화성학은 예비교과로서 앞서 다룬 수학과 기하학과 달리 배울 거리에 ‘운동’phora이 추가되어 있다. 실재 세계가 단순히 공간 속에서 정지stasis해 있는 세계가 아니라 시간 속에서 늘 생성 변화하고 운동하는 세계라면 이제 ‘실재 세계의 운동’에 대한 지성적 이해 또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곳에서 언급되는 운동 즉 phora는 그러한 생성과 변화를 포함한 넓은 의미의 운동 즉 kinēsis로서 운동 일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천체들의 운동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천문학과 화성학이 다룰 운동은 플라톤의 우주론을 빌어 표현하자면 우주 제작자 데미우르고스가 영원하고aidios 한결같은 존재를 본paradeigma으로 삼아 우주의 근본 원인 중 하나인 원시 생성to ginomenon 내지 원시 물질성chora을 설득하여 최대한 ‘가장 아름답고kallistos 가장 훌륭한aristos 것’으로 제작한 우주의 운동이다. 이 과정을 몇 줄로 축약하면 아래와 같다. 데미우르고스는 가장 먼저 철두철미 시종일관 수학적 비례에 기초하여 있음(존재)ousia과 같음(동일성)tauton, 다름thateron(타자성)이 결합된 영혼을 만든 다음, 그것을 길게 둘로 잘라 마치 X자처럼 교차하는 동일성과 타자성 두 개의 둥근 띠들을 만들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되 동일성의 띠를 바깥쪽에서 감싸게 하여 타자성을 지배하게 만든다. 그런 다음 데미우르고스는 타자성의 궤도를 7개로 나누어 행성들을 그 궤도에 배치함으로써 우주로 하여금 영속적이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되 궁극의 좋음을 보전하는 말 그대로 ‘가장 좋은 것’으로서 영원한 코스모스를 만들어 낸다 .(29a-37a) 그러므로 철학의 궁극 목표가 가장 좋은 것으로서 이 우주의 진상을 온전히 밝히는 것에 있는 한, 가장 질서 있는 운동체로서 이 우주에 깃들어 있는 수학적 기하학적 비례를 포착하고 이해하는 것은 철학자들에게 필수적인 배울거리가 아닐 수 없다. 사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플라톤 말기의 위대한 저작 <티마이오스>는 <국가>의 이상국가론을 우주론적으로 뒷받침해주기 위해 쓰여진 것이다. 게다가 중기의 저작인 이곳 <국가>에서도 비록 단편적이지만 <티마이오스>에서 전개될 우주론적 논의의 일부가 내용 그대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점들은 <티마이오스>와 <국가>가 저술 시기상 큰 차이가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플라톤 자신 이미 일찍부터 수학과 기하학에 기초한 우주론과 국가론의 총체적 통일적 연관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을 고려하면 <국가>에서 철학자 왕이 되기 위해 배워야 할 교과로서 본 교과에 들어서기 전에 우주의 운동, 즉 천체의 운동에 관한 천문학이 필수적인 예비 교과로서 요구되는 것은 플라톤의 우주론, 정치론 전체의 관점에서도 너무도 자연스럽고 또 그런 만큼 너무도 필수적인 일이다.
* 그런데 천문학과 자매 학문으로서 화성학은 어떤 측면에서 운동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일까? 플라톤은 이곳에서 그것을 ‘화음이 있는enarmonios 운동phora’으로 규정하면서 눈에 상응하여 천문학이 있듯이 귀에 상응하여 화성학이 있다고 언급한다. 이것은 우주에는 눈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천체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귀로 전달되는 아름다운 소리가 있다는 것이고 동시에 눈에 보이는 감각적 천체의 참된 존재가 수학적 원리에 기초해 있듯이 귀에 들리는 감각적 소리의 참된 원인 또한 수학적 원리에 기초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테면 현악기의 화음은 하나같이 현들의 길이와 그것들 서로 간의 수학적 비례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해 화성학이라고 해서 단순히 귀에 들리는 감각적 소리들을 감각적으로 비교해가며 화성을 만들어가는 일로 여겨서는 안 된다. 현악기의 줄을 괴롭히고 줄 감개를 조여서 고문하는 사람들은 그저 감각적 관찰에만 매달려 천문학을 연구하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하나같이 헛된 일을 하고 있을 뿐이다. 화성학은 들리는 협화음symphōnia과 소리를 대비적으로 측정하는(531a-b) 단순 화성 작업을 넘어 그 안에 있는 수학적 기하학적 문제 즉 어떤 수 어떤 비례 관계가 아름답고 좋은 것인지를 감각이 아닌 사고를 통해 고찰하는 학문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화성학은 원어 ta hamonika의 토대가 되는 말 harmonia의 뜻 그대로 소리의 조화보다는 ‘조화 일반’에 방점을 두어 수학적 비례와 조화, 균형을 다루는 ‘조화학’으로 부르는 것이 더 옳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도 화성학은 조화와 균형, 적도(適度)를 탐구하는 측정술metretikē과도 상호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하겠다.
* 예비교과 가운데 마지막 배울 거리로 다루어지는 과목이 화성학이라는 것도 의미심장하다. 왜냐하면 <국가>의 주제인 정의로운 국가, 정의로운 개인이란 다름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회계층 간의 내적 조화 내지 개인 영혼의 내적 조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내적 조화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궁극의 목표 즉 공동체와 나라에 가장 좋은 것 또한 다름 아닌 공동체의 안녕과 행복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살피게 되겠지만 예비 교과에 이어 본 교과의 목표는 이른바 변증술의 숙달을 통해 ‘좋음의 형상(Idea)’에 이르는 것이다. 좋음의 형상이 다름 아니라 우주적 좋음의 기본 원리일 뿐만 아니라 인간 공동체와 개인의 행복을 담보하는 만유의 총체적 궁극적 원리라는 점도 마지막 예비 교과로서 화성학이 갖는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 531a ‘조밀음정’ : ‘조밀음정’의 원어 ‘pyknōma’로 원래 두껍고 촘촘하게 짜인 옷감을 나타내는 말이다. 조밀음정은 제일 높은음과 제일 낮은음 사이가 대략 완전 4도가 되며 4개의 음으로 구성된 음계에서, 제일 높은음과 그다음 높은음 사이의 음정 격차가 나머지 두 음정 격차를 합친 것보다 더 클 때, 그 나머지 두 음정 격차 각각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음계에 따라서 반음이나 4반음 정도의 음정이 여기에 해당한다.
*531c ‘문제들의 차원으로’ : 여기서 ‘문제들’problēmata이란 530b에도 나왔듯이 수학과 기하학에서 다루는 문제들 즉 수학적 기하학적 원리들을 말한다.
——————–
* 세 번째와 네 번째 예비 교과로서 천문학과 화성학과 관련한 이곳의 논의는 각각 운동과 조화가 추가적인 논의 요소로 더해져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앞에서의 교과와 마찬가지로 탐구 방식에서 감각적 관찰이 배제된 수학과 기하학적 탐구가 시종일관 철두철미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감각적 관찰이나 경험이 아닌 수학과 기하학등 사고 내지 지성의 이해가 강조된다고 해서 플라톤이 감각적 관찰을 무시하거나 배제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플라톤은 다만 감각적 관찰이나 경험이 탐구 방식에서 사고 내지 지성의 이해에 앞서거나 지배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우주 전체, 만유를 다루는 <티마이오스>(46c-48b)에는 그와 관련하여 플라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가 아주 잘 나타나 있다. 그것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그 내용의 요체를 다소 길게 정리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지성을 겸비하고 아름답고 좋은 것들을 제작하는 원인들과 필연에 의해 매번 무질서하고 우연적인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들을 모두 추구하고 탐구해야 한다. 다만 그것들 중 어느 것이 원인이고 어느 것이 보조 원인인지를 분명하게 구별해야 한다. 지성만이 아니라 보조 원인을 구성하는 시각 등 감각들 모두가 유익함의 원인이다. 태양도 하늘도 눈이 볼 수 없었다면 우주에 관한 어떠한 설명이나 논의도 가능하지 않으며, 낮과 밤, 달과 해의 주기, 사계를 관찰할 수 없으면 수를 고안할 수도 시간의 관념과 우주의 본성도 탐구할 수 없다. 그것들로부터 철학에 속하는 것을 얻게 되었으니 그것은 신들이 준 선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우리 안에 있는 사유의 회전을 사용하기 위해 하늘에 있는 지성의 회전들을 관찰한다. 그리고 그로부터 본성에 맞는 바른 계산법을 얻어 우리 안의 방황하는 회전들도 바로 세울 수 있다. 소리와 청각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것도 같은 의도와 목적으로 신들이 선물해 준 것이다. 청각과 관련된 조화는 혼의 회전들과 동류의 조화를 가지니 그것들을 원군으로 삼아 우리는 적도와 우아함을 보전할 수 있다. 세계의 생성은 필연과 지성의 결합으로부터 혼합된 것이므로 그것들 모두가 설명되지 않으면 안 된다. 지성은 생겨나는 것들의 대부분을 가장 훌륭한 것으로 이끌도록 필연을 설득하여 지배하였으니 그런 방식과 조건에 따라 필연이 지혜로운 설득에 굴복함으로써 그렇게 처음부터 이 우주가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만일 누군가가 그러한 우주를 이야기하려 한다면 방황하는 원인의 종류도 함께 다뤄야 하며 그것이 본래 어떤 식으로 운동을 일으키게 되었는지도 이야기해야 한다.”
* 요컨대 선분의 비유, 동굴의 비유 상의 모든 지각 및 인식, 단계별 태도와 지향은 진리와 현실 구제를 향한 발전과 상승을 담보하는 것으로서 각 나름의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오늘날 과학이론의 기본 구도와 발전을 설명하는데도 매우 유의미한 관점을 제공한다. 오늘날 과학 분야에서 감각적 관찰과 경험은 사고를 통해 이론화되고 그 이론은 보다 발전되고 확장된 관찰과 경험을 가능케 하고 그것은 다시 보다 발전되고 확장된 이론과 가설을 낳는 일을 반복하면서 사물과 사태에 대한 보다 발전되고 확장된 과학적 성과를 이룩해 간다. 그리고 그 발전의 단계마다 개별 과학적 성과들에 대한 총체적 인식과 직관은 보다 진일보한 가설들을 창조해내는 과학적 상상력으로 작동한다. 실제로 오늘날의 과학적 성과 중 이를테면 천문학의 경우만 살펴봐도 플라톤이 상상조차 하기 힘들었을 수억 광년 떨어진 은하들까지 관찰할 수 있게 되었고 그러한 천체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나 가설들 또한 플라톤 당시의 수준과는 비교조차 불가능할 정도로 크게 발전한 수학 및 역학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 그런데 과학의 발전과 관련하여 플라톤조차 예상치 못했을 과학 바깥의 변수가 생겨났다. 그것은 오늘날 순수 기초과학을 포함한 과학의 발전이 옛날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엄청난 자본력을 기반으로 성취된 것이라는 점이다. 물리학, 양자 역학, 분자 생물학, 천문학 등 순수 기초 과학의 현대적 성과 또한 엄청난 규모의 실험과 관찰 기구, 고도의 전산처리 능력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게다가 그러한 자본력은 기업이나 권력이 필요로 하는 응용과학 분야에 더욱 선택적으로 집중 투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날에는 순수 이론과학이건 응용과학이건 간에 그 성과들 모두 그 분야에 대한 과학자들의 관심과 무관하게 인간 삶의 가치와 문명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정치사회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 기초과학의 발전에 비례하여 크게 발전한 응용과학 내지 첨단 과학 분야일수록 이를테면 AI 분야와 무기 관련 연구 분야일수록 국가 또는 기업의 이익 차원에서 엄청난 규모의 자본이 투여되고 있다. 후진국으로서는 엄두도 못 낼 일이다. 실제로 초국적 자본을 갖춘 기업 집단 또는 강대국들이 어떤 의도와 목적으로 과학을 운용하느냐에 따라 인류와 지구환경의 미래가 달려 있을 정도이다. 과학적 성과는 내용 자체로는 비록 가치중립적일지라도 누군가의 목적에 종속하여 그 성과가 작동하고 이용되는 현실은 오히려 과학의 가치 관련성에 더욱 주목하게 만든다. 과학과 정치는 결코 별개 문제가 아니다. 물론 플라톤 당대에도 과학적 성과에 대한 비판적 반성이 수행되기는 했었지만, 오늘날 첨단의 과학들 특히 응용과학 내지 첨단산업의 성과들에 대한 비판적 반성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지 않으면, 인류의 행복과 미래를 위한 과학으로서의 본래의 의미와 가치는 언제라도 약해지거나 상실될 수 있는 처지에 놓여 있고 자칫 잘못하면 거꾸로 그 발전에 크게 반비례할 정도의 비극적인 재앙마저 초래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도 우주 및 자연세계에 대한 과학적 성취와 관련하여 그 성취가 클수록 이곳 동굴의 비유에서 최종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이른바 철학적 인식의 극치로서 ‘좋음의 형상’에 대한 성찰이 반드시 자리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과학이든 정치든 어떤 영역에서든 비판적 지성이 수반되지 않으면 그 반지성의 크기만큼 인류는 되돌리기 힘들 정도로 불행하고도 치명적인 대가를 치를 수 있다.
* 소크라테스는 예비 교과들에 관한 논의를 마무리하면서 그간의 배울 거리들 서로 간에 어떤 점에서 서로 동족적인지를 추론해내야 한다고 말한다. 앞서 살폈듯이 그것들의 공통성 내지 친족관계란 두말할 나위 없이 수학과 기하학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것들 모두 장차 ‘좋음의 형상’을 보다 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이라 할 것이다. 그만큼 수학과 기하학은 예비 교과들의 핵심을 이룬다. 오죽하면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 앞에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들어오지 말라ageōmetrētos mēdeis eisitō’는 문구가 적혀 있었겠는가? 그러나 앞서 살폈듯이 플라톤이 염두에 두었던 형상적 진리를 획득하기 위한 방편의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삶의 의미와 목적과 관련한 전면적 현실의 관점에서도 그것 모두는 비록 중차대하지만 앞으로 다룰 본 곡을 위한 서곡에 불과하다. 수학과 기하학에 능한 사람들은 그 자체로 어마어마하고 대단한 사람들이지만 아직 변증술에 능한 사람들은 아니다.
* 이로써 예비적인 배울 거리에 대한 논의가 마무리되고 궁극의 배울 거리로서 본 곡에 해당하는 변증술 즉 ‘좋음의 형상을 획득하는 기술’에 관한 논의가 이어진다. -끝-
다음 강해 주제 : C. 철인통치자의 교육 목표와 교과목(502c-541b)
5. 혼의 전환과 참된 실재로의 상승을 위한 교과목들(제7권 521c-541b)
2) 본 교과목 : 철학적 문답법 – 변증술(531c-535a)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