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형이상학 산책24- 촛불의 비유[흐린 창가에서-이병창의 문화비평]
헤겔 형이상학 산책24- 촛불의 비유
1)
존재와 무는 관계 즉 시공간의 양 측면이다. 존재는 존재자의 통일을 말하며 무는 존재자의 상호 분열을 말한다. 이런 존재와 무는 상호 이행한다. 존재자들이 통일적인 관계를 맺다가 이 관계가 해체되는 것이 소멸이며, 관계가 없던 상태에서 관계를 맺어 통일로 가는 것이 발생이다.
그러므로 관계로서 시공간은 고요하게 머무르는 것으로 생각되거나 부정적인 물체 즉 빈 그릇과 같은 것으로 생각될 수 없다. 왜냐하면, 시공간은 발생과 소멸이 끊임없이 상호 전환하는 운동 가운데 있기 때문이다.
발생과 소멸이라는 생성하는 운동은 다시 힘의 개념을 끌어들인다. 발생은 분열된 존재자를 통일하는 것이니 이는 통일하는 힘을 의미한다. 소멸은 통일된 존재가 분열하게 되니 이는 해체하는 힘을 의미한다.
이제 이 관계 즉 시공간을 어떤 물체적인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시공간은 사실 힘으로 이루어진다. 시공간은 한편으로 관계를 맺는 힘 즉 통일 또는 수축하는 힘과 다른 한편으로 관계를 해체하는 힘 또는 펼치는 힘이 전개하는 상호작용일 뿐이다.
공간이 힘이라는 헤겔의 생각은 역학에서 장[場]의 이론을 생각하게 한다. 이 경우 어떤 중심점이 있어서 그로부터 힘이 마치 파도처럼 펼쳐나간다. 가까울수록 장은 강한 힘을 발휘하며 멀리 떨어질수록 힘은 약화한다.
그러나 헤겔에서 시공간이 장이라 할 때 힘 자체가 그것도 두 대립적인 힘의 상호 작용하는 관계이다. 그것은 마치 밀물과 썰물이 교대하는 바다 한가운데 떠 있는 조각배와 같은 모습을 취한다. 바다가 시공간 즉 존재라면 조각배는 존재자다.
2)
존재와 무가 동전의 양면이듯 발생과 소멸도 동전의 양면이니, 수축하는 힘과 펼치는 힘 역시 동전의 양면이다. 두 힘은 서로 따로 떨어진 힘이 아니며 두 힘의 관계는 각자 독립적으로 그리고 서로 외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점과 연관하여 헤겔은 정신현상학 지성 장에서 물체의 두 속성 사이에는 법칙 관계가 존재하는데, 이 법칙은 두 힘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한다고 한 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이 힘으로 불리는 것이다. 이 운동의 한 가지 계기 즉 자립적인 물질들이 펼쳐져서 제각기 존재하게 되는 운동은 힘의 표출이며 반대의 계기 즉 이 자립적인 계기들이 지양되어 사라지게 하는 운동은 표출에서 자기 내로 수축하는 힘이거나 또는 본래적인 힘이다.”
(정신현상학, GW9, 84)
통일하는 힘과 분열하는 힘은 서로 대립하면서도 서로 침투하여 통일한다. 그 결과 각자가 타자를 촉발하며 각자가 타자로 이행한다. 두 가지 힘의 관계는 마치 음양의 동정이 끝없이 전개되는 태극의 모습과 닮았다.
3)
이상에서 존재자와 존재의 구별에 관한 헤겔 사유의 대강을 그려보았다. 그런데 문제는 양자를 구별해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구별된 양자를 관계하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 존재는 시공간적 관계다. 이 관계를 통해서 어떻게 하나의 존재자 즉 현존[Dasein]이 출현한다는 말인가? 그것은 마치 허공에서 불쑥 손이 나오는 것과 같은 것이 아닐까?
헤겔은 논리학 존재론에서 존재와 무에서 생성, 그리고 힘의 상호작용으로 사유를 발전시켰다. 이제 마지막으로 헤겔은 생성에서 다시 현존재로 이행한다. 이로써 질적 규정을 다루는 1부에서 1장 존재론이 끝나고 2장 규정성 또는 현존재로 넘어간다.
이 마지막 부분은 곧 존재와 존재자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부분인데, 이 부분에 대한 헤겔의 설명은 무척이나 불친절하다. 헤겔 자신의 말을 들어보자. 헤겔은 생성이 발생과 소멸이라는 이중적 규정을 가진다고 말한다.
“그러나 서로 구별되는 두 개의 방향이 상호 침투하면서 서로가 상살[相殺]되기에 이른다. 그 한 쪽 방향은 소멸이다. 존재는 곧 무로 이행하기는 하지만 무는 못지않게 자기 자신의 반대물로 됨으로써 오히려 존재로 이행하니 이것이 즉 발생이다. 발생은 다른 또 하나의 방향이다. 여기서 무가 존재로 이행하되 존재는 못지않게 자기를 지양하는 가운데 오히려 무로 이행하니, 이것이 소멸이다.”(논리학, GW 21, 93)
4)
이것은 앞에서 설명했듯이 힘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다. 즉 발생이나 소멸, 통일하는 힘과 수축하는 힘은 상호작용한다. 통일하면서 수축하고 수축하면서 통일한다. 이어서 이제 헤겔은 이렇게 말한다.
“발생과 소멸은 균형 속에서 서로를 정립하는 데 이런 균형이 일단 생성 그 자체이다. 그러나 이 생성은 마찬가지로 평온한 통일 속으로 함몰하고 만다. 즉 존재와 무가 생성 속에서 다만 소멸적인 것으로 존재하지만 생성 그 자체는 역시 이 존재와 무의 구별성을 통해서만 존재한다. 따라서 존재와 무의 소멸은 곧 생성의 소멸을 의미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소멸하는 것이 소멸하는 것을 뜻한다. 생성은 이리저리 나부끼는 동요와 같은 것이지만 이런 동요는 모두 몰락하면서 하나의 평온한 결과가 된다.”(논리학, GW 21, 93쪽)
여기서 헤겔은 생성을 설명한 다음, 이 생성 자체가 다시 소멸한다고 말한다. 생성에서는 존재와 무가 각자 자기를 소멸하고 타자로 이행하는 것으로만 존재한다. 그게 발생과 소멸이며 양자를 통합하여 생성이라 했다.
그런데 여기서 소멸한다고 할 때는 다름 아닌 생성 자신이 소멸하는 것을 말한다. 즉 존재와 무의 상호 소멸 자체가 소멸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헤겔은 “소멸하는 것이 소멸한다”고 말한다. 생성은 존재와 무의 상호 이행으로서 끊임없이 동요하는 것이다.
반면 생성의 소멸은 동요 자체가 소멸하면서 정지와 평온을 되찾는다. 이제 존재와 무는 서로 이행하지 않고 존재는 존재, 무는 무로 구별되어 존재할 뿐이다. 존재와 무, 통일과 분열은 서로 긴장된 대립 가운데 고요하게 머무를 뿐이다.
그러나 이 생성하는 운동이 정지하는 것은 한순간일 뿐이며 곧 이어지는 순간 다시 생성하는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생성과 생성의 소멸 자신이 다시 통일되어 있다.
이 평온은 곧 존재와 무, 통일성과 분열이 한순간 운동을 멈추고 통일성과 분열이 일정한 관계로 멈추어서 있는 것이니, 여기서 존재자와 존재자는 일정한 관계 속에 그러면서 일정한 분열 속에 있다. 관계 즉 존재와 분열 즉 무는 고정된 채 머무른다.
“그것은 곧 존재와 무의 통일[즉 생성하는 운동]이 고요한 단순태로 된 것이다.”(논리학, GW 21, 94)
5)
여기서 존재와 무가 구별된 채 머무르는 ‘생성의 소멸’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이런 문제 앞에서 거슬러 올라가 최초의 변증법적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의 비유를 떠올리게 된다. 그는 촛불을 비유로 삼았다. 촛불은 타오르는 것과 꺼져가는 것이 즉 발생과 소멸이 끊임없이 교체하는 운동이다. 그런 운동 가운데 발생과 소멸이 균형을 이루면서 고요하게 머무르니, 그것이 바로 로고스라는 것이다.
생성과 소멸이 균형을 이루는 순간, 동요와 운동이 사라지고 고요한 안정이 회복되니, 바로 그 안정이 곧 어떤 규정성이다. 그것이 바로 헤라클레이토스가 말한 로고스다.
“생성은 존재와 무가 통일로 이행하는 것으로 존재하며, 이런 통일은 존재하는 것으로 존재하며, 두 계기의 일면적 직접적 통일이라는 형태이니 곧 현존재다.”(논리학, GW 21, 94쪽)
5)
생성과 로고스, 운동과 규정성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이 있다. 헤겔의 사유는 근대에 출현한 미적분학의 개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점과 연관하여 헤겔이 존재의 무의 통일을 설명하면서 주석4에서 수학적 무한소 개념을 끌어들인 것은 무척이나 의미심장하다.
헤겔은 무한소는 아무리 작더라도 여전히 일정한 크기를 지닌 것이며, 따라서 무는 아니라고 하는 주장을 반박한다. 즉 “크기란 어떤 것이거나 아니면 무일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헤겔은 이런 주장을 반박하며 무한소는 존재도 아니고 무도 아닌 존재이면서 동시에 무인 것이라 한다.
“존재와 무의 중간 상태가 아닌 것은 없다. 수학은 지성이 반대하는 그런 규정 덕분에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논리학, GW 21, 91-92쪽)
헤겔은 무한소를 “존재와 무의 중간 상태”로 표현했지만, 사실 엄격하게 말하자면 무한소는 두 개의 대립하는 힘이 서로 통일된 한순간이다. 예를 들어 낙하법칙을 설명하는 이차 함수를 생각해 보자. 그 이차 함수의 어떤 한 점은 지금까지 운동의 결과 위에 그 한순간의 운동량을 더한 것이다. 그것을 미분적 차이라고 한다.
그 한순간의 운동량 즉 미분적 차이는 무한소의 시간에 무한소의 거리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중요한 것은 무한소의 시간과 무한소의 거리가 비례적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이다. 헤겔은 이 비례적 관계를 두 대리하는 힘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한다. 즉 발성과 소멸, 통일하는 힘과 분열하는 힘의 상호작용이다.
이런 미분적 차이의 작용에 의해 어떤 순간의 점 바로 다음의 점이 결정된다. 이런 생각을 일반화한다면, 낙하법칙의 모든 점은 다름 아닌 미분적 차이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런 예를 들어본다면 헤겔이 존재가 존재자를 낳는다고 말하는 것을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