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강지은 지음,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내가 진짜 아는 것은 무엇인가』(2023) [EBS 오늘 읽는 클래식]

Spread the love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내가 진짜 아는 것은 무엇인가』(2023)

 

서평: 함태원(한철연, 건국대)

 

이제 조금은 알려나?

 

『순수이성비판』을 처음 읽었을 때 당혹감을 잊을 수 없다. 문장에서 모르는 단어가 없었는데도, 심지어 그 글이 한글로 번역된 글인데도 이해가 안 되었기 때문이다. 아는 단어를 다시 국어사전에 찾아봐도 여전히 이해가 안 되어 같은 문장을 몇 번이나 다시 읽어야 했다. 그때 이런 생각이 들었다. ‘아, 나는 아는 게 하나도 없구나’ 그런데 이 생각은 비단 나만의 문제는 아니었나 보다. 이 생각과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의 생각이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칸트는 인식하는 주관과 독립하여 그 자체로 존재하는 객관과 우리가 인식하는 것을 구분한다. 그리고 이 그 자체로 존재하는 객관을 ‘사물 자체(Ding an sich)’라고 불렀다. 그런데 칸트에 따르면, 우리는 이 사물 자체를 온전히 알 수 없다. (105쪽) 이것은 언뜻 이상하게 들린다. 우리가 보고 느끼는 사물들을 우리가 그대로 알 수 없다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그럼 도대체 우리는 아는 게 무엇이란 말인가?

그래서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의 주제는 자연 세계에서 인간이 얼마나 알 수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52쪽) 『순수이성비판』은 인간이 어디까지 알 수 있고, 어디부터는 알 수 없으며, 어떻게 알 수 있는가를 다룬다. 우리는 세계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세계를 어떻게 인식할 수 있을까?

칸트는 인식의 두 원천을 감성과 지성이라 말한다. 먼저 감성은 “대상을 감각하는 능력”으로 인간의 수용력을 말한다. (92쪽) 감성은 시간과 공간이라는 형식을 통해서 인간은 대상으로부터 무언가를 직접적으로 받아들인다. 이것이 직관이다. (97쪽) 그러나 아직 직관만으로는 그 대상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받아들인 직관이 무엇인지 사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사고하는 능력을 칸트는 지성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책상을 보고 느껴진 책상의 색에 대해서 ‘갈색’이라고 개념을 적용하는 능력이다. 이런 지성의 규칙이 바로 논리학이다. (107쪽)

그런데 이런 논리학은 대상의 내용을 다루지 않고 사고의 규칙만을 다룬다. 그렇다는 것은 결국 그 대상이 무엇인지에 관한 인식 내용에는 논리학이 개입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칸트는 인식 내용을 물을 수 있는 논리학으로 ‘초월적 논리학’을 제시한다. (109쪽) 이 초월적 논리학은 초월적 분석학과 초월적 변증학으로 나뉜다.

먼저 초월적 분석학에서는 선험적으로 대상과 관계 맺는 개념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이 개념은 순수 지성 개념으로 범주라고도 부른다. (118쪽) 범주는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자 말하자면 모든 판단이 가지는 판단의 형식인 개념이다. 즉, 감성을 통해서 받아들인 직관에 개념을 적용할 때,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선험적인 개념이 범주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범주를 통해서 무엇이 무엇이라고 필연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앞서 칸트는 사물 자체를 알 수 없다고 하지 않았던가? 그럼 이런 범주는 어떻게 직관과 만날 수 있을까? 그래서 칸트는 이 범주의 적용할 수 있는 범위를 확인한다. 그것이 범주의 권리증명 즉, 연역이다. 그리고 우리는 연역을 통해 이 범주는 현상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는다.

반면에 초월적 변증학에서는 어떻게 아는지를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변증학에서는 모른다는 것을 알려준다. 추론하다 보면 어쩔 수 없이 만나게 되는 초월적 가상이 있다. 칸트는 이에 대해 모른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 모름은 그냥 모른다는 것이 아니다. 진짜로 모른다는 것이다. 우리가 진짜 모르는 것은 아는 것이 없는 게 아니다. 우리는 그것에 대해서 모른다는 것을 안다. 오히려 우리가 진짜로 아는 것은 알 수 없다는 것. 즉, 모른다는 것이다. 우리는 안다. 우리는 현상을 알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사물 자체는 모른다는 것을 안다.


서평자 함태원: 건국대학교 철학과 대학원 석사수료. 칸트 철학을 공부하고, 주된 관심사는 칸트의 실천철학 및 윤리형이상학이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