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라리 네히어라-‘물질’이란?
물질: (그리스어)m?t?r, (라틴어)materia, (프랑스어)mati?re (독일어)Materie, (영어)matter,
*대부분의 철학사전에서 라틴어 마테리아(materia)의 어원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 잘 쓰여졌다는 동녘에서 나온 『철학대사전』을 펼쳐 보라. 왜 우리는 이런 철학사적 의미의 개념을 배우고 익혀야 하는가? 의심해 볼 필요는 없을까? 그래서 “물질”이라는 의미를 지닌 용어는 아니지만, 플라톤의 플라노메네 아이티아(planomene aitia 방황하는 원인)에서 나온 그리스어로서 어머니를 의미하는 메테르(m?t?r, 어머니)라는 단어가 물질을 설명하는 하나의 단서가 된다는 점에서 위에 첨가한 것이다. – 다른 한편 플라톤의 플라노메네 아이티아라는 용어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의 휠레(hyle)와 관련 되고, 그것이 라틴 철학에서는 물질 개념으로, 즉 시니피에로 연결되어 근대철학에서의 물질 개념 정립으로 나간 것으로 보인다.
실천하거나 사유하거나 놀이하거나 간에 인간은 일반적으로 주체와 사물이라는 대상이 있다는 생각을 했었다고 사람들은 믿고 있다. 이 주체와 대상이란 것은 인간이 다른 것과 떨어져 있다는 가정을 한 뒤에 성립한다. 과연 인간은 주객 이원적 철학이라는 것이 있기 전에도 ‘나’와 다른 것이 주객처럼 떨어져 있다고 생각했을까? 우리는 그 먼 과거에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잘 알 수 없다. 그럼에도 우리는 남은 찌꺼기와 상상을 통해 과거에 대한 새로운 방식의 설명을 만들 수 있다.
많은 이들은 손쉽게 그 먼 과거 어느 날 신이라는 영감님이 ‘하늘이 있으라’ 해서 있었던 것처럼 하늘이 있었다고 믿는다. 이 사람들은 마치 만화경에서 처음 이루어진 질서가 무질서 가운데 아름다운 질서를 형성하듯이, 무질서 다음에 그 영감님의 질서가 있다고 여기는 것과 같은 태도이다. 다른 이들은 이 질서 성립의 이야기를 반박하기에는 너무나 모르는 것이 많아서, 자연이 그 자체로 이루고 있는 중이라고 여기지만, 우선 잘 모른다고 말할 뿐이다.
그 질서 성립의 주체를 안다고 말할 수 있다고 한다면, 또 우리가 그 주체의 이름을 붙여본다면, 유명론으로서 ‘하나님’이라고 말할 수도 있고 ‘자연’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님과 자연이 거의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주체로서 하나님이 있다고 하는 경우를 보자. 한편에서는 주체로서 권위를 가지고 행사해 왔던 것으로 여기는 하나님이 있고, 그가 절대성과 보편성을 띠고 있다고 여긴다.
다른 한편에서는 그 시대의 과학이 주체에 관해 해명할 수 없을 때 상식으로 그렇게 말하자는 정도에서 하나님이라는 ‘개념’이 성립한 것으로 여긴다. 주체로서 자연은 무엇인가? 아무도 그 과정을 아직 다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스스로 이루어지는 것’일 뿐이다.
그러면 철학사에서 세계가 ‘있으라’ 해서 있는 것인지, 또는 잘 알 수 없지만 어떤 물질이 자기 변화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했는지, 이들에 대한 논의가 있었을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다. 후자의 입장에 서있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탈레스는 이 세계가 무엇으로 되어 있는지를 자문하면서, 그것은 원질(arche)에서 생겨나서 변형되는 것이라 했다.
우리는 혼돈에서 질서라는 어떤 한 방식을 생각했던 부류, 그리고 근원적인 물질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한 부류 사이에서, 전자는 하나의 질서를 설정하면서 이에 맞지 않은 다른 질서를 부정적으로 보았으며, 후자는 질서가 먼저 있는 것이 아니라 물질이 생성하는 가운데 이런 저런 질서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했던 것이 아닌가라는 짐작을 할 수 있다.
그러면 탈레스 이후에 이루어지고 있는 자연 또는 물질에 대한 어떤 논의가 있을 수 있는가? 진정으로 플라톤주의자들처럼 이데아는 진상이며 물질은 허상이라고 여기는 것이 철학사적으로 주류를 이루는 생각이었을까? 내 생각에, 물질이란 이데아(관념)만큼이나 형이상학적인데, 이상하게도 플라톤시대 이래로 물질이 비하되고 관념이 우월하다고 여겨진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그래서 ‘물질’ 개념에 대한 상상력을 따라가 보는 것도 흥미롭다고 생각한다. 유물론(le mat?rialisme), 역사적 유물론(mat?rialisme historique) 등에서 쓰는 ‘물질’이란 개념이 물질의 근원적 문제에 직접적으로 근접해서 나온 것인지를 되물어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질이란 개념은 라틴어 마테리아(materia)에서 나왔다고 한다. 그리고 프랑스어, 독일어, 영어에서 쓰는 물질 개념은 당연히 라틴어를 기준으로 삼았을 것이라는 것을 가볍게 추리할 수 있다.
내가 ?가라리 네히어라?라고 한 것은 사유에서나 세상살이 문제에서 네 가지 생활양식(modus vivendi)이 – 내가 지어낸 개념이지만 그 만큼의 사유양식(modus cogitationis)이 – 은연중에 있어왔음을 알리고자 한 것이다. 네 가지 생활양식이 있다고 하는 것을 일반인들은 각 편의 둘씩을 하나로 모아서 존재와 무처럼 극한적 인 두 사유양식이 있다고 여긴다.
이러한 양극의 둘로 갈라지기 이전에 양극을 얼마간씩 포함하는 중간의 것들, 즉 중간에서 양극의 일부들을 수용하여 형성하는 중간의 둘들은 개별적 사태들의 일부이며, 매우 다양한 사유 양태들인 셈이다. 왜냐하면 양극의 중간에 위치한 혼합적 사실들은 각기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중첩적 현상들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 중간을 양극과 연관하여 각 극에 관계맺는 양식이 다르기 때문에 중간도 이중이라고 한다. 이 중간의 이중으로서의 둘은 간단히 말하면 어느 쪽 극단으로 기울어지기 이전의 한 몸의 두 측면, 즉 상상의 두 측면이다. 이 두 측면은 상징으로 형상의 극과 실재로서 물질의 극 사이에서 이중성을 띠고 있다. 이로서 우리는 두 극단의 둘, 그리고 그 극단의 어느 쪽으로 기울어진 중간 양식의 둘, 이 넷을 ‘가라리 네히어라’라고 한다.
이 관점을 적용해 보면, 흥미롭게도 한편으로 탈레스에게서는 생성의 원질이라는 실재가 있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피타고라스 학파와 파르메니데스 학파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수 또는 하나의 존재가 먼저라는 생각이 있었다. 이 둘만을 보면 가라리 둘일 뿐이다. 그런데 문제는 플라톤이 세계의 생성 또는 우주 발생에 대해 그럴듯한 긴 이야기를 쓰면서 가라리 둘이 아니라 여럿이라고 이야기했다는 점이다. 우리는 가라리 여럿으로 갈라진다고 상상해볼 수 있다.
플라톤은 『티마이오스』편에서 이데아는 자신의 닮은 모습을 가상이라는 세계에 데미우르고스를 통해서 실현하려(조작하려?) 한다. 그런데 그 가상에도 자기 성질이 있을 수 있다. 그것은 마치 상부의 권력이 이념을 인민에게 강요하지만 인민은 인민의 의지와 욕망이 있어서, 그 권위의 적용이 잘 안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플라톤의 그럴듯한 이야기에 상상을 보태보자. 우선 이데아라는 진상의 여럿들이 자족적으로 있다. 이 진상을 가상에 적용하는 데미우르고스를 따로 떼어놓고 있는데, 이 작용을 논외로 하자. 진상과 가상의 두 가지가 있다. 그런데 가상에는 여러 성질이 있어서 이데아를 받아들일 수 있는 부분도 있고(추종자, 복사물), 그리고 어차피 따라봐야 그들의 욕망이지 인민의 욕망이 아니라며, 이데아와 연관없이 스스로 생산하려는 부분도 있다(생성자). 이 양쪽을 관망하면서 추종자를 모방할 것인지 생성자와 함께 새로운 모방물을 만들어 볼 것인지 하는 부분도 있다(놀이자).
즉 이데아가 한 가지이고, 그와 반대의 생성자가 한 가지이다. 여기에 이데아 쪽을 바라보는 추종자의 가지도 있고 생성자와 협력하며 는 모방자의 가지도 있으니 이들을 보태보면, 가라리 네히로구나. 그런데 이데아를 제외한 세 가지 가상은 이런 여러 성질로서 중첩되고 층위를 지니며 어떤 경우에는 압축된 이름을 지닌 플라노메네 아이티아(방황하는 원인, 방원) – 들뢰즈의 표현으로 ‘미친생성’, 베르그송의 ‘생명’, 스피노자의 ‘자연’과 연관 있다 – 라 불린다.
‘방원’은 이데아에 대립(대립을 모순이라 하는 자들이 전쟁을 만든다)한다는 점에서 질적 다양성을 지닌 차이들로 되어 있다. 이 방원은 그 자체가 인식적으로 무가치나 비합리도 아니고, 윤리적으로 악도 선도 아니다. 단지 이데아와 무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생성의 부분들일 뿐이다. 진화 역사의 긴 과정에서 ‘방원’의 생성 자체가 자신의 내용을 표현하면서 드러난다는 점에서, 그 생성 중에서 어느 것이 이로운 것인지, 또한 생성의 실재성이 무엇으로 설명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 그 시대의 인간들은 자신들의 지성이 지닌 한계에 따라 선호도를 가질 뿐이다. 데미우르고스는 이 지성의 한계일 것이다.
이 ‘방원’은 플라톤 자신이 그럴듯한 이야기로 쓰려 해도 해명이 잘 안되었기에, 대부분의 관념론자들의 구구한 이야기를 거치고 난 뒤에 원인으로서의 수용성 정도로 여겨졌다. 특히 방원은 들뢰즈 표현으로 수동적 종합으로서의 원인으로 표현된다. 이것을 플라톤은 상상적으로 ‘공간(ch?ra), 자리(hedra), 보모(Titth?), 어머니(m?t?r)’ 등으로 명명한다. 나는 여기서 마지막 개념, 즉 비유적이고 상상적 개념인 ‘어머니’라는 말에 주목한다.
누군가 서양 철학사에서 적대의식을 남긴 가장 큰 죄를 지은 학설들 중의 하나가 피타고라스의 이분법이라 했다. 그 여러 이분법들 중 하나로서 규정적인 것과 비규정적 것을 1과 2(우리 식으로 표현하면 음과 양으로)라는 방식 나누고, 초기에는 전자는 남자 후자에 여자를 단순 대비시켰다가, 나중에는 모순이라고 강조하고 의미 확장하여, 전자에 지배, 후자에 피지배를 부여하였다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이분법을 단순한 상상력에서 나온 과장이 아니라고 본다. 후기 피타고라스 학파의 영향과 더불어 이런 이분법적 구별에 의해 전자를 선으로 후자를 악으로 나누고, 전자의 선이 지배하고 후자의 악을 전자의 기준에 맞게 교정하는 것을 합리적인 것처럼 착각했다. 이러한 방식은 군주와 백성 사이에서 제국과 피식민 사이로 이어지며, 상부 이데올로기의 합목적과 하부의 수용, 권력의 절대 권위와 인민의 복종 사이에서 모순이라는 이름으로 강압적 지배로 나아갔다. 실제로 이것을 야만의 폭력이라고 고발한 것은 가타리와 들뢰즈라 할 수 있다.
다시 돌아가 그리스어 어머니(m?t?r)라는 용어에서 라틴어로 마테르(mater)로의 변전을 살펴보자. 이 마테르(어머니)라는 단어는 물질이라는 라틴어 단어 마테리아(materia)의 어원이라 한다. 왜 철학사는 물질의 개념을 어머니라는 의미와 함께 했을까? 플라톤에서 공간(ch?ra)의 단순 수용성과 수동적 종합성인 어머니(m?t?r)가 동급의 성질은 아니지만 ‘방원’의 다양한 이질성(차이와 다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면, 라틴어 마테르가 수용성이면서도 생성을 지닌 종합성은 아니었을까? 그렇다면 왜 철학사는 물질 종합성을 제거하고 자기 생성력이 없는 것으로 만들었을까?
여기에서 나는 역사적 상상력으로 그들의 사회가 크리스트교의 지배를 받아서 물질성이 스스로 영혼을 만들면 안 된다는 사유, 이데아를 물질에 부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유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본다.
‘방원’과 이데아의 두 극이 있고, 또 이데아의 단순 수용의 겉 부분(겉감 윗표면), 방원의 생성이라는 수동적 종합을 포함하는 부분(안감 안표면)이 있다. 이 ?가라리 네히어라?에서 상상의 부분으로서 겉감과 안감이라는 이중성을 상상해 볼 수 있다고 했다. 겉감이 이데아의 모방물로서 겉모습이라면, 안감은 생성자의 오랜 과정의 귀결로서 내용이다.
이로서 안감은 어머니 물질로서 생성이며, 아버지 없는 생성의 부분이 있을 수 있다. 플라톤처럼 이데아를 가정하는 이들의 측면에서 보면, 안감은 미친 생성처럼 보일 것이다. 그럼에도 안감의 생성도 아버지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가정하면, 또다시 이데아에 말려드는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상상에 빠질 것이다. 이것은 그가 질료 속에 형상이 먼저 들어있다고 생각했던 것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프랑스 18세기 계몽기의 유물론을 첨가해보면, 이 생성의 물질에는 아버지가 없다. 그러면 18세기 계몽기의 유물론에서 생성은 이데아 없이 어떤 모습으로 생겨날 것인가? 그 생성은 그들의 주변을 모방하면서 생성하고 소멸한다. 그 생성은 이데아가 없지만 오랜 과거의 경험과 기억으로, 또는 생명의 의지로, 또는 자연의 자기 원인의 발생으로, 안감을 형성하여 만들어 낸다. 이것을 스피노자는 자연의 표현이라 한다. 결국 생성에는 물질성과 안감이라는 다른 가라리 둘이 있다.
물질의 생성이 우연적이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어쨌거나 윗표면과 안감을 인정하는 사람들이다. 이 두 표면의 표현을, 나중에도 이야기하겠지만, 엄격하게 구별하여 물체(물질이 아니며, 신체가 더 적절할 것이다)의 이중성라고 해야 할 것이다. 이 물체의 이중성에 대한 관점에서 윗 표면을 중요시하는 유물론자는 생성의 근원으로서 마테르(마테리아)를 말하기보다 어떤 방식이든지 결과 또는 효과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유물론 이전에 이중성에 대해 데카르트는 두 개의 실체라고 했으나, 우리가 보기에는 두 양식을 제기한 것이다. 물론 스피노자는 두 속성이라 불렀다. 하나는 사유이고 다른 하나는 부피라고 부르지만, 나는 사유 실체란 데미우르고스의 변형으로 기하학적 사유이고, 부피 실체는 새로운 자족적 개념으로 유물론의 토대를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였다고 본다. 즉 그 사유는 위 표면이며 부피는 안감인 셈이다. 이 안감은 철학사가 전개됨에 따라 물체의 부피 속에다가 에너지와 생명과 기억을 보태게 될 것이다.
그리고 ‘자신에 대해서도 생각하는 물체’(사유실체)의 주체는 부피 바깥(겉표면이나 상층)에 있다기보다, 오히려 ‘자연과도 신체와도 분리되지 않은 방황하는 실체’로서 안감과 그 생성 속에 있다. 이제 그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길로 들어서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아직 길은 멀기만 하다.
이쯤에서 과학이나 지식이론에서 설명하는 물질 개념의 다양성을 살펴보자. 아리스텔레스가 질료-형상론에서 질료라는 개념을 창안해냈다는 것은 장점이다. 그 질료인 물질은 이데아라는 형상에 대립된다. 그런 의미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질료 개념을 이데아(idea)에 대립시켰지만, 그 질료 속에 형상이 들어있다는 점에서 그 시대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그래서 질료(물질)는 능력(puissance) 즉 잠재성(virtualit?)으로 정의된다.
에피쿠로스에게 있어서 물질의 요소들이 근본적 실재성이다. 그것들은 불연속적 아톰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양하게 결합한다. 데카르트에서 물질은 정신과 대비되는 신체로서 실체이다. 그 실체의 속성은 부피(l’?tendue)와 운동이다. 따라서 그 실체는 공간적 도형의 개념들과 기계적 운동으로 설명된다. 디드로에서는 결국 물질이란 역동적 실체이며, 관성적 물질에서 생명과 사유에까지 근본적 형식들로서 연속적 방식으로 변형된다.
소박한 유물론은 갈릴레이와 데카르트 이래로 물질을 수학적으로 다룰 수 있다는 가정 위에 있다. 이는 물질 자체보다 물체의 형성(결과)에 관심을 갖는다는 측면에서 에피쿠로스주의자들이다. 이들의 사유는 근대과학에 깊은 영향을 주어 물질의 외적 정량을 다루었다. 그러나 결합 방식의 에피쿠로스적 조합으로서는 설명이 불가능한 원자적 결합들의 역량들이 발견되고, 그 내부의 성질을 다루면서 물질 자체의 개념이 새로운 추상 즉 새로운 관념이라 주장하는 과학자들이 서서히 등장하게 된다. 그들은 이 세계의 생성에 대해서도, 그 결과에 대해서 모두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곤 한다.
물질 자체는 기하학적 크기와 물리적 운동들로 다룰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그 예외적인 물체가 생명체이기 때문이다. 인간이란 생명체의 생명과 의지라는 측면에서 보면, 그럼에도 다른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회귀의 측면도 있는데, 그 회귀는 동일성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새로운 생성을 한다. 이점에서 수학적이 아닌 다른 유물론자들로서 스토아학파와 스피노자를 주목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일부 과학적 유물론자들은 인간은 세계 내에 있으면서도 세계에 대해 탐구와 조작을 잘 실행한다고 여긴다. 이들은 또한 과학적 실행에 들어가면 갈수록 인간으로서 행하는 것이라기보다 도구의 도구가 실행하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이런 확장에 따라 미시물리학과 거시물리학은 물질 자체를 해명이 잘 안 되는 형이상학적인 무엇으로 여기는 듯하다. 그래도 이 학문은 인간이 언젠가 모든 물체를 해명하고 곧 인간이라는 물체도 해명할 수 있다고 여기고 있다.
하지만 그 미래는 아직도 불확정성이다. 그렇다면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본성들은 점점 더 관찰할 수 없게 되며, 또 물질이란 개념은 점점 더 추상화되어 이론적으로 개념화되어 가는 것은 아닐까? 이 물질이 관념을 통해서 이해되고 설명되어야 한다는 가설은 아무것도 보장해주지 않는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물음을 던질 수 있다. 이데아란, 물질이라는 원질의 생성, 운동성, 방황성, 거친 성질, 공포성 등에 대한 불확실성과 인간의 규정을 넘어서는 비결정성을 한탄하다가 회고적으로 만들어 낸 거푸집이 아닐까? 이것이 인류가 물질을 잘 몰랐던 어린 시절에서 나온 사유의 반영이 아닐까? 아직도 이 사유에 젖어 어느 늙은 불임의 영감님이 세계를 만들었다고 믿고 있는 유아기적 상상의 반영 아래에 있는 것은 아닐까?
유아적이고 어린 시절의 상상에도 불구하고 생성은 다른 반복을 행하며 지속되고 있다. 성장한 인간은 새로운 생성을 받아들이고, 그 생성의 결과 속에서 공통의 것을 모아보는 노력을 하고 있지나 않은가.
류종렬(철학아카데미 상임위원) /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