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안내] 최종덕의 <신유물론의 자연철학> ‘유럽인문아카데미 2025년 봄학기’ [한철연 소식]

Spread the love

현재 한철연 ‘신유물론분과’에서 활동하는 최종덕 회원(독립학자/상지대 명예교수)이 신유물론 공부의 성과를 강의로 풀어냅니다. 신유물론분과는 지난 2023년 겨울 연합학술대회에서도 신유물론 연구 성과를 활발히 제출하며 학술적 성과를 올리고 있는 분과입니다. 이번 강의에는 분과 내의 학술적 논의 내용도 포함되지 않을까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수강을 추천하며 주변에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기대되는 강좌를 알립니다. 

 

♦ 자세한 내용과 수강신청은 유럽인문아카데미 홈페이지에서

유럽인문아카데미 홈페이지

▣강사 최종덕
▣정원 50명
▣수강료 90,000원
▣강의실 추후 공지 예정 (오프라인으로만 진행)
▣강좌일시 월요일 3교시 (19:30~21:20)

수강신청 기간2025. 3. 24.(월) 14:00 – 4. 7.(월) 10:00 / 취소 및 환불: 2025. 4. 14.(월) 14:00까지

 

● 강좌소개 :

1990년대 이후 신유물론 경향과 그 자연과학적 배경을 해명한다. 라투르, 마굴리스, 해러웨이, 스텡게흐스, 데란다, 드발, 버라드, 네일Nail 등이 해석한 물질론을 설명하면서, 인간-비인간 네트워크, 탈이분법, 능동성 물질의 의미를 해명한다. 신유물론의 물질론이 사회-정치-윤리적 의미와 생태-공생적 의미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검토한다. 많은 신유물론자들이 화이트헤드A.N.Whitehead를 자신들 이론의 원조로서 언급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신유물론이 인간중심주의에서 탈피한다고 했지만 과연 기존의 주체성(주체의 정도) 철학의 흔적을 깔끔하게 지울 수 있는지 질문하다. 이론지식에 그치지 않고 삶과 사회적 행위양식에 대한 공부가 왜 중요한지를 토의한다.

● 강사소개 :

최종덕 (philonatu@gmail.com) 독립학자 / 상지대학교 명예교수. 독일 Giessen대학 과학철학부 철학박사

『생물철학』(2023), 『의학의 철학』(2020), 『공백의 실재-라투르 존재양식 해제』(2024), 『이분법을 넘어서』 외 10여 권의 저서 출간 및 “화이트헤드의 관계성 개념에 관한 연구”와 “양자역학의 존재론 가능성”의 논문들

강사의 철학아카이브 philonatu.com 에서 모든 자료를 볼 수 있음.

● 교재 :

정해진 교재 없으며, 매주 강의 전 강의 PPT자료 배포

● 참고문헌 :

최종덕 2024, 『공백의 실재: 라투르의 존재양식 해제』 전자책-내려받기

최종덕 2023, 『생물철학』 씨아이알출판사

● 난이도 및 수강조건 :

형이상학적 개념들이 등장하지만 상식common sense 범주에서 설명하므로 인문학적 관심만 있으면 강좌에 참여할 수 있다. 다수 신유물론의 과학적 논증을 위해 생물학과 양자론이 등장하지만, 실제로 자연과학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만 없으면 누구나 편안하게 이해할 수 있는 서술식 강의다. 이 강좌는 일반강의 유형이지만, 일반인과 대학생 그리고 박사후 과정생의 수준을 포괄하고 종합한다.

● 강의계획 :

1주차
4월 7일(월) 3교시 (19:30-21:20)

(1강) 라투르: 근대성과 이분법 비판

물질에 대한 전체 조망- 기입, 절합의 네트워크

2주차
4월 14일(월) 3교시 (19:30-21:20)

(2강) 마굴리스: 공생의 자연철학 기초,

스텡게흐스: 비평형 소산구조에서 카오스의 코스모폴리틱스로

3주차
4월 21일(월) 3교시 (19:30-21:20)

(3강) 해러웨이: 통진화와 공진화,

공-산sympoiesis의 에코진화발달생물학적EcoEvoDevo 배경

“자식 대신 친척”의 생물학적 배경

4주차
4월 28일(월) 3교시 (19:30-21:20)

(4강) 해러웨이: 영장류 연구

버틀러와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발의 관점 차이 비교

반영reflection에서 회절diffraction로

5주차
5월 5일

휴강 (어린이날)
6주차
5월 12일(월) 3교시 (19:30-21:20)

(5강) 버라드: 얽힘의 양자역학 – EPR 해석과 내부작용과 행위실재론
7주차
5월 19일(월) 3교시 (19:30-21:20)

(6강) 버라드: 맞닿음touch의 양자장론, 상호 섭동의 물질세계
8주차
5월 26일(월) 3교시 (19:30-21:20)

(7강) 화이트헤드 : 자연의 이분화에서 현실체와 합생으로

버라드의 현상과 화이트헤드의 현실태

9주차
6월 2일(월) 3교시 (19:30-21:20)

(8강) 네일T. Nail의 움직이는 객체, 존재의 운동성
10주차
6월 9일(월) 3교시 (19:30-21:20)

(9강) 평평한flat 신유물론에서 평등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신유물론의 생태정치철학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