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형이상학 산책18-세계의 밤과 세계의 한낮[흐린 창가에서-이병창의 문화비평]
헤겔 형이상학 산책18-세계의 밤과 세계의 한낮
1) 논리학의 시원 문제는 논리학이 전개되는 바탕과 논리학의 전개 과정을 이해한다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헤겔의 주장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 결정적 요인은 다음과 같은 헤겔의 말이다. 헤겔은 순수지에서 순수 존재로의 이행에 관해서 이렇게 말한다.
“순수지는 구별이 없는 것이며 구별이 없기에 지식이 되는 것조차 포기한다. 순수지는 단지 단순히 직접적인 것으로 눈앞에 등장한다.”
“단순히 직접적인 것 자체가 반성 관계를 포함하고 있는 표현이니, 그것은 매개된 것이라는 구별과 관계한다. 따라서 이 단순히 직접적인 것을 진정으로 표현하자면, 그것은 순수한 존재라고 하겠다.”
순수지에서 순수 존재로의 이행 과정은 여기서 ‘매개’에서 ‘직접성’으로 이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 이행의 이유는 두 가지로 설명된다. 하나는 순수지는 의식과 대상의 통일이니, 이미 지식이라고 말할 수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순수한 존재가 된다. 이런 설명에서 순수지는 곧 순수 존재와 표면적 모습만 다를 뿐이며, 내용상 차이는 없다.
다른 하나는 매개와 직접성은 서로 반성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즉 매개는 이미 직접성을 함축하며, 거꾸로 직접성은 매개를 함축한다. 양자는 상호 침투의 관계에 있다. 이런 상호 침투 때문에 순수지는 사실 순수 존재와 동일하다.
“순수 존재를 발생하게 하는 매개는 이미 자기를 지양한 것이다. 그러므로 존재는 유한한 지식과 의식의 결과로서 순수지를 전제로 한다.”
2)
그러나 이런 설명은 우리를 곤혹스럽게 만든다. 순수지와 순수 존재가 같다고 한다면 논리학에서 그 출발점을 순수지라고 하면 되지, 왜 순수 존재로 전환시킨 것일까? 매개가 직접성으로 전환된다는 표현(또는 매개가 자기를 지양한다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은 좀 신비한 느낌이 든다. 마치 의식에서 대상이 나오는 신의 창조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신의 창조라는 표현은 헤겔이 직접 사용하기도 한다.
“절대정신은 모든 존재의 구체적이고 최종적인 최고의 진리로서 자신을 드러내는 것인데, 한 발자국 더 나가자면 발전의 끝에 이르러 자신을 자유롭게 외화하면서 직접적 존재의 형태로 자신을 내던져 놓은 것으로 인식된다.”(12)
이렇게 외화라는 말을 쓰는 것을 넘어서 곧이어 헤겔은 “절대정신은 세계의 창조를 향해 결단한다”라고도 말한다. 정신현상학의 끝에서 순수지가 존재를 창조한다니, 너무 신비한 표현이다.
헤겔은 왜 이런 신비한 표현을 쓰는 것일까? 여기에 합리적 핵심이 없을까? 생각해 보면 여기서 새로운 비밀이 하나 밝혀진다. 정신현상학은 개별적 지식(감각적 확신)에서 시작하여 가장 일반적인 지식 즉 순수지, 절대지에 도달한다. 순수지는 가장 일반적인 지식이기에 모든 지식의 근거가 되는 지식이다. 이 운동은 근거로 복귀하는 운동이다.
이 근거는 모든 존재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바로 그렇기에 또한 모든 존재자의 가장 외면적인 관계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외면적 관계를 의미하는 순수 존재라는 판단 형식 또는 범주로 파악된다.
일반적 근거가 가장 외면적 관계라는 사실은 정신현상학 자체를 통해 이미 증명된다. 앞에서 정신현상학의 표면 운동 밑에는 이면 운동이 있다고 했다. 즉 개별적 지식에서 일반적 지식으로 이행하는 표면 운동은 동시에 가장 내적인 본질이 자기를 타자로 정립하는 즉 가장 외적으로 실현되는 ‘외화의 운동’이다. 헤겔 말로 하면 세계의 ‘창조 과정’이다. 그러므로 순수지는 가장 외화된 지식이니, 가장 외면적인 지식이다.
순수지가 순수 존재가 되는 것은 갑작스럽게 신비하게 일어난 일이 아니다. 순수지로 가는 운동이 곧 순수 존재로 가는 운동이다. 순수지의 이면이 곧 순수 존재이다. 그러므로 헤겔은 순수지와 순수존재는 서로 반성 관계에 있으며, 곧바로 전환된다고 했던 것이다.
3)
순수지가 순수 존재라는 사실은 거꾸로도 설명될 수 있다. 이번에는 논리학의 운동을 보자. 논리학의 운동은 앞에서 말했듯이 추상에서 구체로 가는 길이므로, 논리학의 시원은 곧 가장 추상적인 범주 즉 순수 존재라는 범주일 수밖에 없다. 순수 존재란 즉 모든 존재자의 가장 외면적인 관계에 적용되는 판단 형식, 범주이다.
순수 존재가 그런 외면적인 범주가 되기 위해서는 순수 존재는 가장 일반적인 것이 될 수밖에 없고 그러므로 모든 개별자의 근거가 되지 않을 수 없다. 즉 순수 존재는 곧 순수지다.
논리학의 표면 운동이 이렇듯 추상에서 구체로 가는 길이지만, 그 이면 운동은 곧 다시 근거에로 복귀하는 길이다. 논리학은 결국 외면적인 관계에서 다시 가장 내면적인 관계 즉 내적 본질로 복귀하는 과정이다. 이 내적 본질은 곧 순수지이니, 논리학의 운동은 결국 자기를 자기가 자각하는 과정이다.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하나의 도표를 그려놓기로 하자.
정신현상학 |
논리학 |
|
시원 |
감각적 확신(직접지) |
순수 존재 |
표면 운동 |
개별지에서 일반적 근거로 |
추상에서 구체로 |
(감각에서 개념으로) |
(단순한 규정의 복잡화) |
|
이면 운동 |
추상에서 구체로 |
개별 범주에서 일반 범주로 |
(내적 본질의 외면적 정립, 타자화) |
외적 관계(객체 논리)에서 내적 관계(주관 논리)로 |
단순한 규정의 복잡화=내적 본질의 외면적 정립(타자화)
감각에서 개념으로=객체 논리에서 주관 논리로
4)
여기서 우리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모든 것의 근거라면 우리는 자주 사물의 가장 내적인 심층에 감추어져 있을 것으로 본다. 거의 대부분의 철학에서 근거는 곧 심층적인 것이다. 그런데 헤겔에서 사물의 가장 근거가 되는 일반적 지식은 동시에 사물의 가장 외면적인 관계만을 보여주는 지식에 지나지 않는다. 근거가 곧 외면적인 것이라니, 헤겔의 말에서 우리가 받는 충격도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헤겔의 입장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반헤겔적인 철학자 들뢰즈의 실체 개념을 소환할 수 있을 것이다. 들뢰즈는 베이컨을 논하면서 그의 그림을 실체-속성-양상의 관계를 설명했다. 들뢰즈는 베이컨의 그림 가운데 가장 외면적인 표면을 즉 단순한 색깔로 칠해진 표면을 곧 실체라고 규정했다. 반면 그 한 가운데 사물의 구체적 모습을 사물의 양상이라고 규정했다. 들뢰즈는 실체는 모든 것의 근거이지만 동시에 그것은 가장 표면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헤겔의 주장과 일치하는 주장이 또 어디 있겠는가?
우리 앞에 펼쳐진 가장 외면적인 공간, 흔히 철학에서 순수공간 즉 한낮의 외면적 공간이 사실은 그 속에서 모든 개별자들과 그 관계가 함축된 세계의 밤, 신비하고 응축된 만물의 고향이다. 거꾸로 밤의 피투성이의 불안은 곧 한낮의 평화로운 정적이다.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