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일곱 번째 시간, 비 [시가 필요한 시간]

Spread the love

열일곱 번째 시간, 비

 

마리횬

 

6월도 다 지나가고 이제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입니다. 갑작스런 무더위가 계속되는 동안 햇빛은 뜨겁고, 마스크는 마스크대로 한층 더 답답하게 후끈거리는 숨을 몰아쉬게 만들었었는데요, 드디어 며칠간 반가운 빗줄기가 쏟아졌습니다. 비가 막 내리기 시작하니까 갑자기 가을이라도 된 것처럼 한낮에도 살짝 서늘하기까지 하더라구요. ‘아 여름이 이대로만 시원하게 지나갔으면 좋겠다’ 싶습니다.

오늘은 앞으로 우리가 자주 만나게 될 ‘비’를 이야기하는 시를 함께 읽어볼까 합니다. 여러분은 혹시 비 좋아하세요?

 

 

저는 비를 좋아해요. 빗소리를 좋아한다는 것이 더 알맞을 것 같네요. 특히 비가 내려서 도로가 비에 젖었을 때, 그 위로 자동차가 달리면서 내는 “촤악~” 소리가 참 좋습니다. 밤에 그 소리를 들으면 마치 파도 소리처럼 들리기도 하는 거 아세요? 눈을 감고 듣고 있으면 해변가에 나와있는 것 같고 괜시리 기분도 좋아진답니다!

왠지 모르게 비 오는 날에는 조금 차분해지기도 하고, 비 오는 날만의 분위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시가 바로 그런 분위기와 어울리는 시가 아닐까 싶은데요, 유안진 시인의 <비 가는 소리>입니다. 비가 ‘내리는’ 소리가 아니라, 비가 ‘가는’ 소리라니 약간은 생소하죠.

‘비 가는 소리’라면 비가 점차 그치기 시작할 때의 빗소리를 말하는 것일 텐데요, 내리는 비가 그치는 것을 보면서 과연 시인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이 시를 통해 한번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가는 소리

                          유안진

 

가는 소리에 깼다

줄도 몰랐는데 썰물소리처럼

다가오다 멀어지는 불협화의 음정

 

밤비에도 못다 씻긴 희뿌연 어둠으로, 아쉬움과 섭섭함이 뒤축 끌며 따라가는 소리, 괜히 돌아보는 실루엣, 수묵으로 번지는 뒷모습의 가고 있는 밤비 소리, 밤이 새기 전에 돌아가야만 하는 모양이다

 

가는 소리 들리니 왔던 틀림없지

밤비뿐이랴

젊음도 사랑도 기회도

오는 줄은 몰랐다가 겨우 알아차리는

어느새 가는 소리가 듣긴다

왔던 것은 가고야 말지

시절도 밤비도 사람도죄다.

 

 

낮에 비가 내렸다면 당연히 빗소리가 들릴 것이고, 창 밖 풍경으로 빗줄기가 보일 테니 비가 오는 줄 모를 리가 없을 겁니다. 비가 오는 줄 몰랐다가 나중에야 ‘아, 비가 왔었구나’하고 알게 되는 것은 ‘밤비’뿐이겠지요. 이 시는 비가 그치고 있는 어느 날 밤, 화자가 잠을 깨면서 시작하고 있습니다. 잠든 사이에, 내가 모르는 사이에 이미 내렸고, 이제는 서서히 그치고 있는 밤비를 보면서 시인은 문득, 온 줄 모르고 있다가 어느 새 가버리는 어떤 것들에 대해 생각하게 됩니다.

 

가는 소리 들리니 왔던 틀림없지

밤비뿐이랴

젊음도 사랑도 기회도

오는 줄은 몰랐다가 겨우 알아차리는

 

시간이 흐른 뒤에야 깨닫게 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정신 없이 하루하루를 살다 보니 벌써 6월이 다 가버렸다는 것을 알게 되듯, 이미 지나가버린 뒤에야 늘 아쉬움으로 남는 것들이 있죠. 우리의 젊음이 그렇습니다. ‘내가 10년만, 아니 5년만 더 젊었다면’하는 생각, 다들 한 번씩은 해 보셨겠죠? 이제 막 젊음을 누리는 10대나 20대초까지만 해도 알지 못했던 시간의 빠름을 그 때가 지나간 후에 점점 나이가 들면서 비로소 느끼게 됩니다.

또 누군가가 떠난 이후, 그 존재의 무게와 깊이가 얼마나 컸었는지 뒤늦게야 와 닿습니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일 수도 있고, 가족, 친구가 세상을 떠났을 때의 감정일 수도 있어요. ‘그 사람이 없는 내 마음이 이렇게 허전한 것을 보니 그가 내 곁에 가까이 머물렀었구나’, ‘그의 존재가 내 마음을 가득 채웠던 게 틀림 없구나…’라고 누군가가 떠난 흔적을 보고서야 비로소 그 사람의 소중함을 알게 될 때가 있죠. 역시 한창 어리기만 했을 때는 미처 알지 못했던 감정들 일겁니다.

우리에게 주어지는 ‘기회’라는 것도 그렇습니다. 눈 앞에 왔을 때 두 손으로 꼭 잡았어야 했던 것인데, 당시에는 소중한 줄 모르다가 지나쳐 버린 후에야 ‘그 때 시도해 볼 걸’, ‘….걸, …걸..’하며 후회하죠. 왜 진작 알지 못하다가 나중에서야 이렇게 깨닫게 되는지..

이처럼 밤비가 지나가버린 뒤에야 비가 왔었다는 것을 깨닫는 새벽녘의 선잠처럼, 뒤늦은 아쉬움으로 남는 순간들이 우리 삶의 곳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아쉬움과 애잔함을 잘 표현해주는 단어가 이 시에서의 ‘불협화의 음정’이라는 말이 아닐까 싶어요. 우리가 음악을 듣거나 노래를 부를 때 듣게 되는 ‘화음’이 있죠. 음정이 딱 맞아 떨어지는 화음(협화음)은 듣기에도 안정적이고, 아름답고 편안하다는 느낌을 주지만, 서로 어긋나고 어울리지 않는 불협화의 음정은 불안하고 약간의 긴장감을 주고, 한편으론 아련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시인은 불협화음이 자아내는 그러한 아련하고 슬픈 느낌을 ‘가고 있는’ 빗소리를 통해 느끼고 있는 것이죠.

 

어느새 가는 소리가 듣긴다

왔던 것은 가고야 말지

시절도 밤비도 사람도죄다.

 

비가 ‘오기 시작하는’ 소리 보다, 왔다가 떠나가는 빗소리가 더 들린다면, 어쩌면 이제 조금 더 성숙했다는 증거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시인의 말처럼 모든 것은 “왔다가 가고야” 마는 것인데, 그것을 전혀 모른 채 아쉬움 없이 떠나 보냈던 수많은 날들, 젊음, 사랑, 기회들을 이제는 돌이켜보게 되었다는 것이니까요.

분명 비 가는 소리에도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이 인생에 대한 감수성이며 성찰이니까요. 하지만 그렇다고 내가 놓쳐버린 것에 대한 아쉬움과 미련에만 너무 지나치게 붙들려 있어서도 안될 겁니다. 오히려 이 시의 화자처럼, “왔던 것은 가고야 말지”라고 그것을 담담하게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우리의 남은 인생에서 어김없이 또 다시 비가 내릴 테니까요.

황동규 시인은 “즐거운 편지”라는 시에서, “내 사랑도 어디쯤에선 반드시 그치겠지만, 눈이 그치면 꽃이 피어나고 낙엽이 떨어질 것이고 그러다가 또 눈이 퍼부으리라”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지금 눈이 그치고 마치 내 사랑도 끝난 것처럼 보이겠지만, 세월 지나 다시 겨울이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눈처럼, 내 사랑 역시 결코 끝나지 않으리라는 기다림의 자세를 말해주고 있는 거 아닐까요? 유안진 시인의 <비 가는 소리> 역시 같은 맥락으로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눈을 떠 보니 어느 새 비가 그치고 떠나가고 있나요? 그 ‘비 가는 소리’에 잠시 귀 기울이신 후에, 다시 훌훌 털고 다음 번에 내릴 비를 기다려 보면 어떨까요? 내일이 될 지, 다음 주가 될지는 모르지만 언젠가 반드시 다시 비가 내릴 겁니다. 그 때는 ‘비 오는 소리’도 반갑게 들을 수 있게 말이죠.

 

오늘 이 시와 어울릴만한 노래로 한영애 씨의 <바람>을 골라 보았습니다. 내리는 줄 몰랐다가 그쳐버린 비처럼, 곁에 있는 줄 몰랐다가 떠난 뒤에야 알아차리는 것들이 많다고 이야기 했었는데요, 우리 주위의 바람, 구름, 비가 되어 그대의 곁에 머물겠다는 가사가 한영애씨의 목소리를 만나 한층 더 마음에 와 닿는 노래입니다. 이번 주에는 비 소식을 기다려보면 어떨까요. 저는 2주 후에 또 좋은 시를 가지고 찾아올게요.

한영애 – 바람  https://youtu.be/ljb6_c2TIfA

 


필자 마리횬

아이폰 팟케스트 <마리횬의 시와 음악공간(2012)>에서 러시아의 시와 노래를 직접 번역하여 소개하는 방송을 진행하였고, 호주 퀸즐랜드주 유일의 한인라디오방송국에서 시를 읽고 생각을 나누는 <시가 필요한 시간(2016-2018)>을 진행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연세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동대학원에서 러시아 문학을 공부하고 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