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착실(着實)

Spread the love

착실(着實)

 

좋은 아이디어가 항상 성공할까? 선한 의도가 반드시 좋은 결과를 맺을까? 고귀한 이상이 언제나 실현되었을까? 꼭 그렇지 않다. 현실이 그렇다. 현실은 복잡하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이라는 개념이 있다. 착한 기술이다. 적정기술은 기술이 아닌 인간의 진보에 가치를 두는 과학기술을 말한다. 현대는 기술이 발전한 것 같지만 세계에는 아직도 기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이 넘친다. 주로 NGO의 활동과 연계되어 빈곤과 가난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발전되었다.

플레이펌프라는 것이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회전놀이기구를 신나게 타고 노는 모습을 보면서 이 회전력을 이용해 지하수를 끌어 올리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후진국들을 위한 자선 사업의 일종이었다.

결과는? 당연히 실패다. 원인은? 여성들이 사용하기 힘들고 아이들은 회전놀이를 더 이상 하지 않는다. 속도감을 느낄 수도 없어서 탈 재미가 없기 때문이다. 섭씨 40도가 넘는 더위 속에서 누가 재미도 없는 뺑뺑이를 하루 종일 돌리겠는가? 가장 실패한 적정 기술의 하나로 평가된다. 현지 사정에 전혀 무지했던 것이다. 착한 기술일지라도 먼저 사람들이 진심으로 원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착한 소비라는 개념도 있다. 탐스 슈즈(TOMS Shoes)라는 회사가 있다. 하나를 사면 하나를 기부한다는 모토로 후진국의 가난한 사람을 도우면서 소비를 한다는 개념이었다. 그러나 비판을 받았다. 현지 가난의 근본적인 원인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하나를 기부한다는 자선 행위가 현지에서 생산된 제품들의 선호도를 떨어뜨려 지역 경제에 타격을 준다.

가난은 해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선진국 사람들이 도덕적 자선 행위를 하고 있다는 착각만 만들어준다. 사람들은 착한 소비를 함으로써 다른 아무것도 하지 않고서도 도덕적 만족감을 충족시키고 있다. 물론 탐스 슈즈 창립자는 후진국 국가들에 신발 공장을 세워 현지인을 고용하여 이런 비판을 해결하려 했다.

윌리엄 맥어스킬의 냉정한 이타주의라는 책이 있다. 자선 행위에 효율성을 강조한다. 효율적 이타주의이기도 하다. 이 말은 자선, 선의 등의 도덕적 행위에 효율이라는 경제적 관념이 결합된 듯하다. 마치 경제적 도덕주의처럼 들리기 때문에 어색하게 들린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도덕을 행한다는 착각이 아니라 도덕에서도 주어진 자원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두어야 한다는 의미다.

착실하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약간 우둔하게 성실하다는 정도의 의미로 쓰인다. 그러나 원래적 의미 맥락은 다르다. 착실(着實)이란 실제적인 것, 현실적인 것에 달라붙는다는 말이다. 실제와 현실에 부합한다는 말이다. 우둔하게 성실하기만 한 것이 결코 아니다. 주희는 이렇게 말한다.

앎은 고명함을 귀하게 여기고, 실천은 착실함을 귀하게 여긴다. 앎이 고명하다면 반드시 착실하게 해 나가야 한다.(知識貴乎高明, 踐履貴乎着實. 知既高明, 須放低着實做去.)

 

혁명가였던 체 계바라는 이렇게 말했다.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속에는 불가능한 꿈을 가지자. 혁명가는 불가능한 꿈을 꾸는 사람이다. 그러나 혁명은 리얼리스트일 때만이 실현할 수 있다. 리얼리스트는 불가능한 꿈을 꾸지 않을 수도 있지만 리얼리스트일 때만 불가능한 꿈을 실현할 수 있다. 착실한 사람이 고명한 이상을 꿈꿀 때 혁명은 가능하다. 고명한 이상만 품고 착실하지 못한 사람은 세상 탓만 할 뿐이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