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처음 읽는 한국현대철학
<처음 읽는 한국 현대철학> – 동학에서 함석헌까지, 우리 철학의 정체성 찾기 –
저자 : 한국철학사상연구회(한국현대철학분과)
동녘 2015.05.29
안녕하세요? 지난 5월 말 한철연 한국현대철학분과(예정)에서 집필한 <처음 읽는 한국 현대철학>(동녘)이 출간되었습니다.
2013년 여름부터 이규성 선생님의 <한국현대철학사론> 윤독을 시작으로 2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분과원들의 매주 노력이 결실을 맺었습니다.
구성원들의 전공이 한국철학이나 중국철학에 국한되지 않고 서양철학 전공자들과 함께 어우러졌기에 좀 더 다양하고 심도 있는 얘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처음, 우리가 다루려는 인물들을 철학자라고 볼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했지만 이제는,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철학이 온전한 철학이라고 할 수 있는가?라는 또 다른 질문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문제의식은 계속 이어갈 것입니다. 특히 한철연에서는 더욱 그래야 할 것입니다.
아래는 이 책에 대한 출판미디어매체의 소개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관심있는 회원 및 여러분들의 일독을 삼가 권합니다.
—————————————————
이 책은 ‘한국 현대철학’이란 이름으로 여러 인물을 소개하지만, 차례를 살펴보면 이런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이 사람이 왜 철학자로 분류된 것일까?’ 실제로 이 책에 소개된 인물 가운데 상당수는 우리가 알고 있는 철학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은 적이 없으며 널리 알려진 철학 저술이나 논문을 남기지도 않았다. 강단에서 철학교육에 임한 경험도 없는 이가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떤 근거로 이들을 ‘철학자’로 부를 수 있을까? 저자들은 우리가 ‘철학’에 관해 일정한 상(像)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철학은 대학 전공학과에서 전수되는 학문 체계인 만큼 엄밀하고 실증적이며 논리적인 학문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우리의 고정관념 속 철학의 상을 완강하게 견지한다면, 사실 이 책에서 다루는 인물 대다수는 ‘철학자’가 아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철학의 상은 주로 근(현)대 서양에서 형성된 것이고, 그나마 일본을 통해 기틀이 마련되었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바로 이러한 철학의 상, 이 시대 우리에게 고착화된 철학의 상에 얽매이려 하지 않는 태도가 이 책의 중요한 전제라고 강조한다.
저자 :
이병태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객원교수
구태환 상지대학교 강사
김정철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과 박사수료
이 지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진보성 방송통신대학교 강사
유현상 상지대학교 강사
조배준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연구원
박영미 한양대학교 강사
목차
머리말
1. 한국의 ‘철학’과 한국철학의 ‘현대’ – 이병태
2. 전통사회의 동요와 새로운 사유의 출현: 성리학 비판과 평등한 인간관 – 구태환
3. 최제우와 동학사상: 한울님을 모신 몸으로 산다 – 구태환
4. 나철과 대종교: 역사적 실천을 통한 한얼의 회복 – 김정철
5. 박은식의 민족주의적 양명학: 전통의 개혁을 통한 위기의 극복과 자주적 근대 모색 – 이지
6. 신채호의 민중중심사상: 민중의 주체성과 절대자유의 정신 – 진보성
7. 신남철의 휴머니즘: 사회주의적 이상을 꿈꾸다 – 유현상
8. 박치우와 위기의 철학: 철학의 당파성과 지식인의 실천 – 조배준
9. 박종홍과 국가주의: 강단 철학의 빛과 어둠 – 박영미
10. 함석헌의 ‘씨알 철학’: 씨의 세계를 꿈꾸다 – 유현상
11. 우리 시대의 철학 – 이병태
글쓴이 소개
우리에게도 ‘철학’이 있을까?
역사의 뒤편에 가려진 우리 철학을 한권의 책으로 만나다!
‘우리’ 철학 혹은 철학자는 있는가? 이 책은 단순하기 짝이 없는 물음에서 시작되었다. 이 책이 소개하는 ‘우리 철학자’들은 전통 지성의 세례를 받았지만 격변의 역사 앞에서 스스로 달리 생각하고 실천하면서 독자적인 사유의 흔적을 남기고자 애쓴 인물들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최제우, 나철, 박은식, 신채호, 박치우, 박종홍, 함석헌 등은 인간과 삶, 사회 및 역사, 자연과 우주 등, 현대철학의 주요 주제들을 진지하게 탐문하고 신중하게 답하여 실천함으로써, 종교지도자나 독립운동가로서의 정체성을 뛰어넘는 진정한 현대 ‘철학자’의 면모를 보여준다. 이 책의 출간은 한국 철학사에서 나타난 기나긴 ‘수용’의 역사를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지적 모험을 감행한 이들의 사유를 통해, ‘우리’ 철학의 빛나는 가능성을 엿보고 역사의 뒤편에 가려진 우리 철학자들을 ‘발굴’해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최제우의 ‘동학’에서 함석헌의 ‘씨ㅇ·ㄹ 철학’까지
우리가 잘 몰랐던 한국 현대 철학자들의 철학과 사상!
한국철학은 우리 민족이 오랜 역사 속에서 자신들이 몸담고 살아온 자연 조건과 사회 상황에서의 경험들을 추상화하고 체계화해낸 것이다. 우리 선조들은 오랜 기간 자신들이 살고 있는 삶과 세계에 대한 문제들을 고민하면서 해답을 찾으려 노력했고, 이 과정에서 독자적인 사유 체계를 만들거나 외래 사상을 받아들여 자신들의 사상으로 다듬어 갔다. 이런 한국철학에 관해 나온 책들은 대부분 원효나 지눌 등 불교 사상가와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등 성리학자부터 시작해 연암 박지원, 다산 정약용 등 조선 후기 실학자까지만 다루고 있다. 이 책은 그동안 동학사상 이전 까지만 주로 다뤄왔던 한국철학을 ‘현대’까지 이어나가고 있다. 그동안 학술서로는 한국 현대철학사상에 대한 연구와 함께 박종홍, 신남철, 박치우 등이 개별적으로 다루어지기는 했지만, 대중교양서로 한국현대철학이 체계적으로 소개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이 책의 출간의 의미는 깊다.
이 책은 ‘한국 현대철학’이란 이름으로 여러 인물을 소개하지만, 차례를 살펴보면 이런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이 사람이 왜 철학자로 분류된 것일까?’ 실제로 이 책에 소개된 인물 가운데 상당수는 우리가 알고 있는 철학교육을 체계적으로 받은 적이 없으며 널리 알려진 철학 저술이나 논문을 남기지도 않았다. 강…(하략)
출처 [인터넷 교보문고]
도서출판 동녘의 신간 소개 (복사해서 주소창에 붙여넣기 하세요)
http://blog.naver.com/dongnyokpub/220380661486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