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가 그립다고? 홉스에게 물어봐![청춘의 서재]

Spread the love

박정희가 그립다고? 홉스에게 물어봐![청춘의 서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다시쓰는서양근대철학사>

 

안광복(중동고등학교 교사·철학 박사)

 

* 본 기사는 8월 10일자 [프레시안 books] 를 재게재하는 것임을 밝힙니다.

철학자 칸트는 ‘도덕적 정치가’와 ‘정치적 도덕가’를 나눈다. ‘도덕적 정치가’란 ‘정치꾼’이다. 한마디로, 도덕을 허울 삼아 자기 잇속만 좇는 치들이다. 반면, ‘정치적 도덕가’는 참된 정치인이다. 그들은 원칙과 명분에 따라 비전을 펼친다. 사람들의 미움을 사 벼랑 끝까지 몰리더라도, 그들은 해야 할 말을 한다.

도덕적 정치가와 정치적 도덕가, 사람들은 어느 쪽에 더 끌릴까? 언뜻 보면 정치적 도덕가일 듯싶다. 하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아파트값, 땅값 올려주겠다는 공약으로 표를 긁어모은 정치인이 얼마나 많던가. 어느 시대나 평등과 배려를 앞세우는 자들은 늘 ‘마이너리티’였다. 시민들은 이익을 채워주겠다는 정치가들에 혹하기 쉽다. 하지만 이들이 권력을 잡으면 어떻게 될까? 대한민국은, 세상은 더 살기 좋고 바람직하게 바뀔까?

이 물음에 고개를 끄덕이기란 쉽지 않다. 지난 세월, 살림살이 피게 해주겠다며 큰 소리쳤던 권력자들을 많이 겪어봤던 탓이다. 물론, 정치는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타협을 이끄는 작업이다. 그러나 윤리와 비전을 좇지 않는 정치는 발전이 없다. 늘 ‘이익 나눠 먹기’ 수준에 머무르는 정치는 결국 주저앉고 만다. 칸트가 늘 도덕과 원칙을 강조했던 이유다.

 

▲ 한국철학사상연구회지음, 오월의 봄

<다시 쓰는 서양 근대 철학사>(오월의봄 펴냄)는 이런 식으로 울림을 준다. 책의 딸림 제목은 ‘우리의 눈으로 본 철학사’이다. 말 그대로, 책은 서양 철학자들의 이론을 우리 현실에 비추어 풀어낸다. 그만큼 설명은 절절하고 생생하게 다가온다. 내용을 좀 더 살펴보자.

2010년, 유로존은 가입 국가들에게서 7000유로를 끌어 모으려 했다. 그리스의 국가 파산을 막기 위해서였다. 모금 계획은 점점 커져서, 지금은 무려 1조 유로를 마련하려 한단다. 왜 유로존은 그리스를 애써 도우려 할까? 그리스 국민들을 위해서?

책의 ‘로크’ 편을 쓴 박영균은 고개를 가로젓는다. 구제 금융의 목적은 그리스의 국채에 투자한 은행들을 보호하는 데 방점이 있단다. 프랑스 3대 은행은 그리스에 엄청난 돈을 쏟아 부었다. 미국의 은행들은 여기에 빚보증을 섰다. 그리스가 무너지면, 손해는 고스란히 힘센 나라들에 돌아갈 테다.

이런 모습이 철학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 자본주의의 뿌리에는 로크의 ‘사회 계약설’이 깔려있다. 이에 따르면, 국가는 사람들의 ‘합의’에 따라 세워졌다. 사람들이 재산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권력자를 세우고 복종하기로 약속했다는 뜻이다.

만약 국가가 내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지 못할 때는 어떨까? 나아가 내 재산을 빼앗으려 든다면? 로크는 당연히 국가에 맞서야 한다고 말한다. 이른바 ‘저항권’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생명만큼이나 중요하다. 내 돈을 가로채려는 국가는 내 목숨을 위협하는 강도일 뿐이다.

로크의 저항권은 신자유주의와도 맥이 닿는다. 국가는 경제 활동에 주재 넘게 간섭해서는 안 된다. 규제와 통제는 경제를 죽일 뿐이다. 국가는 범죄를 막는 역할만 하면 된다. 능력껏 알아서 자유롭게 이익을 좇을 때, 살림살이는 가장 피어나게 되어 있다.

이 논리에 따라 지금의 ‘유럽 구제 금융 사태’를 바라보자. 거대 은행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세금을 쏟아 붓는 일이 정당할까? 세금도 결국 시민들의 ‘재산’이다. 힘 센 몇몇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많은 이들의 돈을 함부로 써도 될까? 시민들은 지금 현실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내 돈도 담겨 있을 공적 자금을 쏟아 붓는 국가에 ‘저항’해야 할까, 협력해야 할까? 로크의 ‘저항권’을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행동은 달라질 테다.

로크는 시민들의 건전한 정신을 믿었다. 로크에 따르면, 시민들은 ‘공적(公的) 이성’을 갖추고 있다. 자기 이익을 챙기면서도 사회 전체의 발전을 위해 양보와 타협을 할 줄 안다는 뜻이다. 민주주의는 이런 믿음 위에서 굴러간다.

하지만 지은이는 “로크는 더 이상 미국 독립 선언서’를 만들어냈던 혁명의 시간에 속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한다. 신자유주의에 따라 국가의 간섭과 통제에서 풀려난 경제는 어떻게 되었던가? 과연 ‘공적 이성’에 따라 사회는 조화롭게 흘러갔던가? 오히려 고삐 풀린 탐욕이 세계 경제를 엉망으로 만들어놓았을 뿐이다. 지금의 현실을 이겨내려면, 자본주의의 재산권, 나아가 신자유주의의 뿌리가 되는 로크의 사상부터 제대로 짚어보아야 한다.
▲ <다시 쓰는 서양 근대 철학사>(한국철학사상연구회 지음, 오월의봄 펴냄). ⓒ오월의봄이렇듯, <다시 쓰는 서양 근대 철학사>는 서양의 철학자들을 지금의 현실로 불러들인다. 책장을 넘길수록 더 많이 알고 싶은 욕구가 피어나는 이유다. 책에는 2012년의 우리 현실을 빗대어 말하는 부분이 많다. 서양 근대는 절대 왕정이 끝나고 민주주의가 싹트던 시기였다. 우리 역시, 오랜 군부 독재 끝에 민주주의가 피어나는 시기를 살고 있다. 게다가 대선을 코앞에 둔 시점, 서양 근대 철학자들의 문제의식은 우리 현실과 절실하게 겹친다.

홉스를 예로 들어보자. 홉스는 사회 혼란을 두려워했다. 그는 사람들이 무질서와 폭력을 막기 위해 지도자를 세웠다고 상상한다. 이 지도자는 <성경> 속 괴물, ‘리바이어던’과 같다. 감히 맞서려 했다간, 누구라도 목숨을 잃을 만큼 무시무시하고 힘세다는 뜻이다. 이처럼 강력한 카리스마로 사람들을 옥죌 때 질서는 잡힌다.

홉스가 꿈꿨던 지도자는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과거 개발 독재 시대 권력자들이 이렇지 않았던가. 그들은 사회 안정과 경제 성장을 위해서라면 폭력도 필요하다는 논리를 펼쳤다. 인권과 민주주의는 뒷전으로 밀려나곤 했다.

그럼에도 적지 않은 시민들이 독재에 지지를 보냈다. 홉스는 시민들의 강력한 독재자는 시민들의 ‘합의’에 따라 세워진다고 말했듯이 말이다. (물론, 그에게서 독재자란 ‘왕’이었다.) 홉스의 주장은 개발 독재를 그리워하는 이들을 정당화하는 논리로 쓰일 수 있겠다.

하지만 ‘홉스’ 편을 집필한 한길석은 이는 ‘도착적 민주주의’일 뿐이라며 헛웃음을 짓는다. 홉스의 주장이 맞다고 해보자. 그래도 문제는 심각하다. 시민들은 독재자에게 따르겠다고 합의한 이유는 하나뿐이다. 자기 보존(conatus), 즉 자신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서다.

그렇다면 사회는 모래알처럼 되어 버린다. 국가는 나의 목숨과 재산을 지켜줄 때만 가치가 있다. 국가와 나의 관계는, 보안 회사와 개인 간의 계약과 비슷한 모습이다. 당연히 절절한 애국심이 자라날 까닭이 없다. 사람들은 다른 시민이 고통 받는 모습을 보아도 애써 무관심하려 할 테다. 사회를 꾸리는 목적은 ‘나의 이익’을 위해서일 뿐이다. 그런데 왜 내가 남을 위해 희생해야 한단 말인가? 설명을 따라가다 보면, 독재 국가에서 이기적인 시민이 늘어나고 부패가 판을 치는 까닭이 분명하게 다가온다.

서양의 근대는 과학과 민주주의가 싹트던 때였다. 과학은 종교와 맞서며 ‘합리적인 생각’을 널리 퍼뜨렸다. 민주주의는 절대 왕정과 힘을 겨루며 자유와 평등을 소리 높여 외쳤다.

지배가 흔들리는 곳에는 혼란이 찾아들기 마련이다. 그래서 서양 근대의 철학자들은 질서를 잡아줄 ‘새로운 정치 원리’를 찾는 데 오롯이 매달렸다. 과학이 펼치는 합리적인 사고는 철학자들이 비전과 가치를 새로이 다잡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다시 쓰는 서양 근대 철학사>는 서양의 근대 철학자들의 문제의식과 성과를 생생하게 살려내었다.

우리 사회에서도 ‘민주주의가 밥 먹여 주냐’고 부르짖던 시절이 있었다. 잘 살아보기 위해 강력한 지도자에게 복종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겨야 했던 때도 있었다.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가 된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이제 풍요가 곧 행복이 아님을 너무나 잘 안다. 우리에게는 사회를 이끌 새로운 가치가 필요하다.

이 점에서 책의 ‘루소’ 편을 집필한 김광호의 말은 호소력 있게 다가온다.

“(사회를 이끄는 원리는) 주권자의 자의(恣意)가 아니라, 자유와 평등을 지향하는 공동체의 비전에서 나온다.”

우리 사회에는 과연 가슴 부풀게 하는 공통의 비전과 가치가 있을까? 이상(理想)이 없는 삶은 생존 논리에서 한 걸음도 벗어나지 못한다. 돈과 이익만 좇게 된다는 뜻이다. 그러나 절대 빈곤에서 벗어난 순간, 더 이상 행복은 곳간에서만 나오지 않는다. 사회와 내 삶을 행복으로 이끌 가치와 이상을 고민하고 있다면, <다시 쓰는 서양 근대 철학사>를 꼼꼼하게 읽어볼 일이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