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론을 읽자[자본론 강독]-①

Spread the love

자본론을 읽자[자본론 강독]-①

??

세미나 참석 : 이재유, 김선이, 김성심, 나태영, 박종호, 신재길, 신준하, 윤지미, 최혜진

정리 : 신재길(2012교육강좌 수료, 한철연 회원)

?

?*? 2012년도 교육강좌 후속 세미나로 [자본]을 읽고 있습니다. 세미나 팀에서 매번 정리하여 웹진에 연재하기로 하였습니다.

 

‘자본론’은 유럽사회의 변화에 영향력을 가장 많이 끼친 책으로 성경 다음 자리를 차지한다고 한다.

그러나 구소련이 몰락하자 사람들은 자본론이 틀렸다고 생각했으며 자본론은 사람들의 관심에서 점차 멀어졌다. 맑스의 자본주의 이론이 틀렸다는 생각이 거의 상식화 되었을 때, 1997년 우리나라에서는 외환위기가 몰아쳤고, 2008년 세계적 금융위기가 터졌다. 이러한 세계적 경제위기는 단순한 경기순환이 아니라, 자본주의의 구조적 문제에서 기인한다는 인식이 분명해지자 자본론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나 자신의 경우에도 2008년 이후에 자본론을 읽어 보고자 했으나, 혼자는 어려워 하지 못하다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에서 자본론 읽기 모임이 만들어져 참여하게 되었고 이 지면을 빌려 자본론을 정리해 보려고 한다.

대체로 개념 정리를 기본으로 하고 자본론 읽기 모임의 후기로 간추려보고자 하나, 철학과 경제를 아울러 일반 경제관련 책들에 비해 어려운 자본론을 제대로 정리할 수 있을지 두려움이 의욕을 앞선다. 맑스는 자본론이 노동자들에게 많이 읽혀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무기가 되기를 염원했지만, 나 자신만이라도 새롭게 변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정리하고자 한다.

 

제 1 편 상품과 화폐
?
제 1 장 상품
?
제 1 절 상품의 두 요소: 사용가치와 가치(가치실체, 가치크기)
?
[ 자본론의 연구 대상과 방법 ]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부는 하나의 ‘거대한 상품집적’으로 나타나고, 하나하나의 상품은 이러한 부의 기본형태로 나타난다. 그래서 우리의 연구는 상품의 분석부터 시작한다.”(자본 1권, 강신준 옮김, 도서출판 길, p87)

 

이 문장은 자본론 본문의 첫 시작 문장이며, 가장 핵심적인 문장이다.

그러나 바로 이 첫 문장부터 어려움에 봉착한다. 먼저 ‘자본주의 생산양식’이라는 낯선 용어가 앞길을 막아선다. 아마도 맑스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의 구조와 원리를 밝히는 것을 자본론의 최종 목표로 삼았을 것이다. 우리 또한 맑스의 이야기를 따라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구조와 원리에 차차 접근해보도록 하자.

다음으로 경제학의 연구대상인 ‘부’에 대해서 보자. 경제학은 예술도 아니고 정치도 아닌 ‘부’가 그 연구대상이 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의 ‘부’는 무엇을 말하는가? 우리는 보통 ‘부’하면 돈을 생각하지만 맑스는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부는 ‘상품’이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돈을 ‘부’로 보는 우리의 생각이나 상품을 ‘부’로 보는 맑스의 생각은 다른 것인가? 다르지 않다.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돈이란 상품의 특수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상품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우리의 삶은 상품을 생산하고 교환하고 소비하는 과정이다. 이런 과정을 떠나서는 살아갈 수 없다. 돈은 우리 삶을 사는데 꼭 필요한 상품을 살 수 있게 해 준다. 그래서 우리는 돈에 집착한다. 해고되거나 취직할 수 없으면 생존자체가 위협받게 되어 우리는 돈을 얻기 위해 우리자신도 상품으로 판다. 모든 것은 상품이 되지 않으면 생존할 수가 없다. 상품은 우리의 삶의 현실을 대표한다. 맑스는 이런 상품이 무엇인가 묻고 그 답을 찾아 여행을 떠난다.

 

맑스는 ‘상품’에서 출발하여 어느 곳에 도달할 것인가?

 

하비는 자본론에서 ‘나타나다’에 주목한다. 영어의 appear, 독일어의 erscheinen 는 그 명사형들이 철학용어로 ‘현상’을 뜻한다. 현상이란 “감각, 직관, 직접적 경험을 통해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사물, 과정 등의 외적인 성질의 총체”라 한다(철학대사전, 동녘). 현상은 본질적인 징표뿐만 아니라 비본질적인 징표도 나타낸다고 한다. 학문은 바로 사물의 현상에서 출발해서 사물의 본질을 해명하는 것이다. 맑스는 자본주의라는 주어진 현실에서 상품이라는 현상을 포착한다. 상품을 현상으로 본다는 것은 상품의 외적인 성질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자본주의의 본질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럼으로서 이 상품이라는 현상을 통해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본질에 도달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 길을 갈 것인가? 맑스는 상품의 ‘분석’으로 간다고 한다. 분석이란 “전체를 그것의 부분들로, 한 체계를 그것의 요소들로, 사유에 의해서나 또는 실제로 분해, 해체, 해부하는 것을 본질로 삼는 인식 절차”이다(철학소사전, 동녘). 분석이란 말 그대로 나눈다는 것이다. 나눈다는 것은 단순화시킨다는 의미다. 어떤 문제가 복잡해서 잘 풀리지 않을 때 사람들은 충고 한다. 문제를 단순화시키라고. 바로 그런 의미에서의 단순화가 ‘분석’의 핵심이다. 문제가 복잡하면 그 문제를 여러 단계나 작은 문제들로 나누어 그 중에서 중요한 것을 끄집어내어 풀어가면 명확하게 문제가 드러나고 그에 대한 해결의 대안도 보인다. 그래서 맑스는 ‘분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러나 맑스는 단순히 ‘분석’의 도구만을 사용하지는 않았다. 맑스의 ‘분석’은 ‘추상’을 위한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맑스는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의 본질을 추상화 한다. 자본론 전체를 아울러 맑스는 반복적으로 대상을 ‘분석’하고 ‘추상’하여 다시 그 추상화된 대상물을 ‘분석’한다. 마치 한 고비 넘어가면 새로운 지형(=추상)이 나타나고 그 곳의 길(=분석)을 찾아 올라가면 또 다른 지형이 나타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공리체계(이진경의 ‘자본을 넘어 자본’ 참조)와는 완전히 다르다. 공리란 어떤 이론체계의 기본명제 내지 근본명제로 이로부터 새로운 정리들이 연역된다. 따라서 공리는 보통 증명 없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명제로 출발하고 무모순성이라는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 체계이다. 즉 공리체계는 모든 추론이 전적으로 논리적 연역의 결과일 것이 요구된다. 이는 현실의 경험이나 분석을 배제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하지만 맑스는 상품이라는 현실을 ‘분석’하여 노동가치를 도출해 낼 때, 맑스의 ‘분석’은 무모순성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Leave a reply

  • Default Comments (0)
  • Facebook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