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과 사람: 정지아 작가, 아버지의 해방일지(1) [흐린 창가에서-이병창의 문화비평]

Spread the love

사상과 사람: 정지아 작가, 아버지의 해방일지(1)

1)

제목에 나온 ‘해방일지’라는 말의 의미를 내가 착각한 것 같다. 작가가 빨치산의 딸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기에, ‘해방일지’란 해방 시기에 작가의 아버지가 겪은 경험을 적은 것으로 이해했다. 작품을 읽다 보니, ‘해방일지’란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작가가 겪은 경험을 적은 글이라는 의미로 보인다.

여기서 해방이란 아버지가 삶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해방이란 사슬에서 벗어난다는 의미일 텐데, 아버지의 삶을 묶어 놓았던 사슬은 어떤 것일까 궁금했다. 작가는 작품의 전반부에서 빨치산이었던 작가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상당히 냉소적인 태도로 그려내고 있다.

작가의 아버지와 어머니는 혁명가로서의 진지함을 평생 잃지 않는다. 작가의 아버지는 평생 이념을 지키며, 전봇대처럼 꼿꼿하게 살다가 끝내 전봇대에 부딪혀 뇌진탕으로 돌아가신다. 작가의 어머니는 사회주의를 “가난한 자가 인간 대접을 받는 사회” 정도로 이해하면서도 성스러운 신념으로 간직하는 데 그것은 풋사랑에 지나지 않는 첫사랑을 평생 기억하는 것과 같다고 한다.

작가의 냉소적 시각은 두 빨치산의 혁명적 사상이 지닌 허점을 놓치지 않는다. 작가의 아버지는 몰락한 양반의 후손이며 사회주의 사상을 몸으로 겪기보다는 문자를 통해 배운 의식만 앞선 사회주의자다. 이런 아버지는 농사를 짓지만, 노동은 건성으로 하며 평생 정치적인 관심을 잃지 않는다. 어머니 역시 국졸이지만 그 당시로 본다면 지적인 인텔리에 속한다. 부모님의 대화는 필수적인 것을 빼놓으면 대부분 정세 판단이나 과거 빨치산 체험에 대한 기억일 뿐이다.

이런 아버지에게 그래도 장점이 있었다면 그것은 유물론적 솔직함에 있다. 작가의 아버지는 자기의 딸인 작가의 외모를 평가하면서 하의 상 정도로 평가한다. 작가 자신은 아버지 평가 덕분에 평생 외모에 관한 관심을 버리게 되어 마음이 홀가분해 졌다고 하면서도 다른 한편 아버지가 “사람 살이에 아주 중요할지도 모르는 무언가를 놓친 것 같다”라고 평가한다.

이런 빨치산은 자기들만의 세계를 가지고 고립되어 있다. 이 고립된 모습은 빨치산을 아버지로 둔, 장례식장 황 사장과 그 아버지의 동지였던 어머니의 포옹을 작가가 그려낸 모습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저 느닷없는 친밀감과 포용이 퍼스트 클래스에 탄 돈 많은 자들끼리의 유대감과 별반 다르게 느껴지지 않았다.”

작가의 이런 서술은 너무 신랄해 거부감이 느껴질 정도이다.

2)

작가는 빨치산의 딸로서 사회로부터 무거운 압박감을 느끼면서 이 때문에 부모를 원망한다. 작가는 가능한 한 부모와 사회, 모두에서 떨어져 살고자 하면서 소설가가 된다.

작가는 평생 사회주의자가 아닌 아버지를 알지 못했으나 아버지의 장례식을 겪으면서 아버지의 새로운 모습을 보게 된다. 그 모습은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는 흩어져 있다가, 장례식을 거치면서 하나로 모여들어 마침내 뚜렷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작가는 작품 속에서 아버지의 그러한 모습을 그려내고자 한다.

아버지의 새로운 모습은 마치 볼레로의 음악처럼 조금씩 더 크게 나타난다. 처음엔 아버지의 지게에 꽂혀 있는 “빨갛게 익은 맹감과 연자주빛 들국화”의 형태로 나타났다. 아버지는 동네 자청 머슴으로서 온갖 일을 도맡아 처리하면서 영자의 암내를 치료하게 하여 결혼할 수 있게 해주며, 여호와의 증인 신도인 경희가 집에서 쫓겨날지도 모를 위기를 구해주기도 한다.

마침내 소설의 후반부에 이르면 아버지의 새로운 모습은 아버지가 살려준 순경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아버지는 빨치산 시절 보급 투쟁에서 다락에 숨은 순경을 순경을 하지 않겠다고 하면 살려주겠다고 하면서 목숨을 구해주었다. 후일 순경은 빨치산에 가담하겠다고 아버지를 찾아왔으나, 아버지는 오히려 쫓아 보내고 만다. 후일 다시 만난 순경이 그렇게 쫓아 보낸 이유를 묻자 아버지는 이때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질 게 뻔한 전쟁이었소. 우리야 기왕지사 나선 몸이제만 그 짝은 사상도 읎고 신념도 읎는디 멀라고 뻔히 질 싸움에 끼울 것이요.”

작가는 이 대목에 이르러 비로소 아버지의 새로운 모습이 눈에 뚜렷하게 들어왔다고 하면서, 처음으로 딸로서 아버지를 ‘아빠’라고 불러 본다.

3)

아버지의 옛날 모습은 곧 사회주의 사상의 혁명 전사로서 모습이었다. 이제 새로 나타난 아버지의 모습은 한마디로 말하자면 사람으로서 모습이다. 작가는 두 아버지의 모습을 사상과 사람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한다.

여기서 작가는 사상과 사람을 대립시키면서 사회주의자가 사상에 사로잡혀 사람을 놓친 것이 아닌가 비판한다. 작가는 거꾸로 사람이야 말로 뿌리에 해당하며, 사상은 그런 뿌리에서 나온 가지에 불과하고 이런 가지는 아무리 잘려 나가도 뿌리는 영원히 남아 있다고 한다.

사람이 살아가는 이런 뿌리를 작가는 구례라는 장소를 통해 상징적으로 그려낸다. 구례는 아버지의 고향이었으며 빨치산으로서 전장이었고 또 체포 이후 남들과 달리 돌아온 고향이다. 이곳은 아버지와 같은 빨치산도 살고 그런 빨치산을 토벌한 우익 박한우 선생과 같은 사람도 살고 있다. 월남전에 참전해 다리를 잃고 아버지 같은 사람에 대해 원망감을 지닌 목발 짚은 노인도 산다.

그뿐 아니라 아버지 세대의 후손들도 아버지의 전쟁에 유산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아버지 때문에 육사에 입학하지 못한 장손자 길수 오빠, 빨치산을 아버지로 둔 황 사장, 어머니의 레포였던 여 동지의 딸인 떡집 언니, 아버지를 존경하는 민주노동당 당원인 박동식, 아버지의 전쟁을 역사로 기록하려는 지역사회연구소 연구원 윤학수, 그리고 아버지의 형제로서 아버지에 원망감을 지닌 작은아버지 등이 모여 산다. 이 속에는 아버지가 자신의 첫 부인의 남동생이나 여동생과 만나는 곳이기도 하고, 어머니 첫 남편의 동생이 아내와 더불어 찾아오기도 하는 곳이다.

그런 구례는 마치 인연의 끈이 촘촘하게 엮여 있으면서 사람으로서 인간의 삶이 전개되는 장소이다.

“구례라는 곳은 어쩌면 저런 기이하고 오랜 인견들이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엮인 작은 감옥일지도 모른다.”

이 속에서 “사람이니 실수를 하고 … 사람이니 용서도 한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