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스 슈티르너: 에고이즘의 위대한 철학자-6(최종) <슈티르너 이후>, <역사적 결론>, <페미니즘에 관한 후기> [유령(Spuk)을 파괴하는 슈티르너(Stirner)]
<슈티르너 이후>, <역사적 결론>, <페미니즘에 관한 후기>
박종성(한철연 회원)
– 차 례 –
|
Svein Olav Nyberg [노르웨이 아그데르 대학교(노르웨이어: Universitetet i Agder) 부교수]의 글, Max Stirner: The Great Philosopher Of Egoism(2021)을 번역한 글입니다.
<슈티르너 이후>
스코틀랜드계 독일 시인 존–헨리 맥케이(John-Henry Mackay)는 오늘날 슈티르너에 관해 알려진 대부분의 내용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 맥케이는 슈티르너에 대한 정보와 그가 쓴 내용을 추적하는 데 몇 년과 막대한 재산을 사용했습니다. 맥케이 자신은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였으며, 슈티르너 역시 그렇게 해석했습니다. 나는 이것이 슈티르너의 경우에 해당되는지 의심스럽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또 다른 논의를 위한 것입니다. 슈티르너는 어떤 경우에 아나키스트, 특히 맥케이와 같은 개인주의 아나키스트에게 영감을 주었지만, 미하일 바쿠닌(Mikhail Bakunin) 같은 사회적–아나키스트(social-anarchist)도 막스 슈티르너에게 빚을 졌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슈티르너는 세기가 바뀌면서 두 번째 명성을 얻었습니다. 게오르그 브라데스(Georg Brandes)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를 발견하고 홍보했습니다. 니체의 팬들은 니체의 “선구자”를 찾고 있었고, 이를 슈티르너에게서 발견했습니다. 따라서 브라데스는 1902년에 『유일자와 그의 소유』의 덴마크 판의 서문을 출판하고 썼을 때 시장을 확보했습니다. 헨리크 입센(Henrik Ibsen)은 브라데스와 자주 서신을 교환했기 때문에, 입센이 슈티르너의 영향을 받았다고 가정할 이유가 있습니다.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로서의 슈티르너의 명성은 금세기 초 미국의 대표적 자유주의자를 이끄는 벤저민 터커(Benjamin Tucker)가 1907년 『유일자와 그의 소유』의 첫 번째 영어판을 출판했을 때 이를 자신의 가장 큰 업적으로 여겼을 때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나중에, 슈티르너는 대부분 아나키스트 정치 철학자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비평가 허버트 리드(Herbert Read)에 따르면, 에리히 프롬(Erich Fromm), 융(Jung),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및 몇몇 20세기 실존주의자들과 같은 사람들은 슈티르너에게 빚을 지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다양성이 슈티르너를 기쁘게 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역사적 결론>
『유일자와 그의 소유』가 출판된 후 막스 슈티르너가 상상했던 방식대로 상황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이 작품은 무겁고. 즉각적 영향을 미쳤으나, 1848년 정치적 불안과 혁명으로 인해 그와 동시대의 청년 헤겔주의자들의 관심이 사라졌습니다. 슈티르너를 포함한 대부분의 청년 헤겔주의자들은 이 시기에 경제적으로나 다른 면에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슈티르너 자신도 실패한 투자로 곧 전 부인의 전 재산을 낭비했습니다.
1856년에 죽기 전에, 슈티르너는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에 대한 최초의 독일어 번역을 완성했고, 스미스를 대중화한 프랑스인 장 바티스트 세이(Jean-Baptiste Say)의 일부 책도 번역했습니다. 슈티르너는 죽을 때까지 여러 휴게실과 회의실에서 급진적이고 충격적 사상을 언급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1856년 6월 25일 슈티르너는 곤충에 쏘인 후 감염으로 사망했습니다. 그와 함께 유일한 세계가 죽습니다.
<페미니즘에 관한 후기>
“인간의 본질”(the essence of Man)에 대한 슈티르너의 공격은 “페미니스트”와 가부장제주의자 모두가 가정하는 성 역할(gender roles) 비판에 깔끔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양쪽 모두 여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규범적 견해를 유지합니다. 예를 들어, 여성은 근육질일 수 없다는 말을 듣습니다. 여성이 강하면 가장들은 그녀에게 “여성적이지 않다”, 심지어 “남자같다”unwomanly고 꼬리표를 붙입니다. 이 모든 과정에서 간단한 건강 검진을 통해 그녀가 여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80년대의 비슷한 추악한 예는 마가렛 대처(Margaret Thatcher)가 총리였을 때입니다. 페미니스트들은 그녀가 그들 중 하나인 “여성”이 아니라고 소리쳤습니다. “그녀는 ‘남자’였다.” “인간”에 대한 슈티르너의 비판 경향을 따라가면, 우리는 젠더 본질주의(gender essentialism)와 미리 부여된 젠더 역할(pre-assigned gender)이 단순히 자기 모순적(self-contradictory)이라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그녀가 “여성”의 본질과 역할에 맞지 않는다고 해서 여성이기를 중단하는 것은 일탈적 여성이 아닙니다; 더 이상 사실이 아닌 것은 “여성”의 본질과 역할입니다.
페미니즘은 아마도 세기 전환기 영국의 저명한 개인주의자이자 페미니스트였던 도라 마스든(Dora Marsden) 때문에 특별한 관심을 끌었을 것입니다.
그녀의 수사법과 생각은 슈티르너와 매우 유사하며 그녀는 이 연관성을 명시적으로 확인했습니다.
이 놀라운 여성에 대해 더 잘 알고 싶다면 다음 웹페이지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http://pierce.ee.washington.edu/~davisd/egoist/marsden/
하지만 조심하세요. 마스든과 그녀의 수사법에 비하면 오늘날의 페미니스트들은 지루한 관료처럼 보일 것입니다!
– 끝 –
옮긴이 박종성: 건국대학교에서 슈티르너의 유일자 개념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 『유일자와 그의 소유』(2023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이데올로기와 문화정체성』(공역)이 있다. 논문으로는 「유일한 사람의 사랑」, 「슈티르너의 ‘변신’ 비판의 의미」, 「식민지 조선에서 슈티르너 철학의 변용과 그 의미 및 한계-염상섭의 「지상선을 위하여」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현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원이고 건국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Feel free to contrib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