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 강해 ⑫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Spread the love

플라톤의 <국가> 강해

 

 

  1. 트라쉬마코스와 대화(336b~354c)

 

* <국가> 제1권이 제2권 이후에서 플라톤이 마주해야할 도전들을 담고 있다면 트라쉬마코스가 던지는 문제는 그 도전의 핵심에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트라쉬마코스가 제기하고 있는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라는 주장은 그의 주장이기 이전에 이미 당대 소피스트들과 기득권 세력 사이에서 널리 팽만해있었던 정의관이었다. 이 점을 고려하면 플라톤이 타파하려는 근본 표적은 트라쉬마코스가 아니라 소피스트들이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다만 트라쉬마코스가 등장인물로 설정된 것은 <국가>의 대화상정시기인 기원전 420년 전후해서 그가 아테네에서 활동한 가장 저명한 소피스트들 중 한 사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요컨대 문제는 소피스트들인 것이다. 플라톤이 얼마나 소피스트를 의식하고 있었는가는 그의 대화편들 중 상당수가 소피스트 혹은 소피스트들의 이름을 제목으로 갖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소피스트들의 생각과 문제의식은 플라톤이 자신의 철학과 사상을 세우기 위해 반드시 넘어서야할 과제이자 출발점이었던 것이다. 그런 만큼 소피스트들의 사상 전체를 살피는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다만 소피스트들의 등장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이곳에서의 논의를 이해하는데도 매우 중요하므로 여기서는 그 점에 대해서만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 우선 ‘소피스트’라는 명칭은 어떤 동일한 사상을 공통으로 내걸고 나선 어떤 특정 학파나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도 아니고 일찍이 아테네에 존재했던 일군의 지식인 계층을 가리키는 말도 아니다. 그 말은 의미상 ‘지혜로운 사람(sophistēs)’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그렇다고 지혜로운 사람들을 가리킬 때 쓰이는 일상적인 용어도 아니었다. 오히려 지혜로운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로는 일찍이 현인(sophos)이란 말이 있었지만 통상 그 말이 소피스트들을 가리키는 말로 이해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지혜로운 사람으로 여겨졌지만 아테네에서 일찍이 존재하지 않았던 직업군 즉, 돈을 받고 가르치는 일을 직업으로 삼은 최초의 사람들이었기 때문이다. 그 만큼 소피스트들은 특정 시대, 특정 부류의 성격을 갖고 있다. 기존의 지식인 세력이 시인(poiētēs)들이었다면 소피스트들은 신흥 지식인 세력이었던 것이다. 실제로 소피스트들은 시기적으로도 기원전 5세기 내내 아테네가 민주정 체제로 거의 굳어지면서 그 시대의 수요에 따라 나타났다가 4세기 말 아테네가 쇠망기에 접어들자 점차 사라져 버린 직업적인 교사들이었던 것이다.

* 그런데 당대 아테네의 어떤 정황들이 그들에 대한 수요를 불러 일으켰을까? 주지하다시피 아테네는 그리스의 도시국가들 중 유일하게 5세기에 접어들면서 한 세기를 지속할 정도로 민주정이 거의 확고할 정도로 자리 잡은 나라였다. 특히 페리클레스가 집권한 이래 급격하게 진행된 상업화와 국제화는 오랜 동안 농업 중심적인 사회를 지탱해오던 전통적인 관습과 규범들을 뿌리 채 흔들어 놓았다. 그 때까지 귀족 중심으로 그들의 자의에 따라 운영되던 정치체제 또한 민중의 정치 참여 비중이 커짐에 따라 민중을 설득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요구되었고 귀족들 사이에서도 그 우위를 점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었다. 그리고 민중들 또한 새로운 정치 세력으로 부상한데다가 사회경제적으로도 상업화에 따른 개인 간의 이해관계가 전에 없이 다양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개인 간 갈등과 소송도 급격하게 증대되었고 그 만큼 그들에게도 민회에서건 법정에서건 자기 의견을 표출하거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한 능력이 크게 요구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이제 전통적인 관습과 규범들을 보다 세분화시킴과 동시에 그것들을 자기들에게 유리하게 적용시키기 위한 다양하고도 새로운 방법과 관점들을 양산시켰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곧바로 아테네인들에게 논쟁과 연설 능력이라는 새로운 수요를 창출시켰다. 소피스트들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아테네인들의 수요에 부응하여 서서히 그러나 확고하게 아테네의 담론 시장을 차지하게 되었던 것이다.

* 물론 논변과 연설 능력의 향상은 두말할 나위 없이 민주정의 발전을 위한 토대이자 인간의 이성 능력의 바람직한 진보가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문제는 아테네의 영화(榮華)를 발판으로 창출된 그러한 수요가 불행하게도 아테네가 곧이어 쇠망기를 맞게 되면서 오히려 아테네의 분열과 멸망을 가속화하는 계기로도 작용했다는 점이다. 아테네가 쇠망기에 들어선 5세기 후반에 이르면 아테네인들이 추구한 논쟁술의 향상은 공동체의 보전과 공동의 이익을 위한 합리적 논쟁과 설득에 기여하기 보다는 각자도생과 자기의 이익을 실현하는 도구로 활용되었고, 특히 권력이야말로 그러한 이익을 실현하는 최고의 방편임을 알고 있는 엘리트 집단일수록 탁월한 논변과 연설의 기술은 더욱 필수적인 것으로 요구되었다. 그야말로 아테네는 소피스트들에게 자신들의 입지와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좋은 토양이 되었던 것이다. 페리클레스를 비롯한 웬만한 권력가들 집에는 늘 소피스트들로 북적였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따라 소피스트들은 증대된 수요에 발맞추어 더욱 정교한 반론술(antilogikē)과 쟁론술(eristikē)을 발전시켜갔고 어떻게든 소송의뢰인의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기존의 관습과 규범들을 다르게 해석하는 관점과 방법을 찾아내는데 힘을 쏟았다. 소피스트들의 생각과 활동이 개별적이고도 다양한 양태로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그들의 사상을 일반화해서 말하기는 쉽지 않지만, 통상 그들의 사상적 특징을 ‘인간에 대한 관심’, ‘논리와 언어에 대한 관심’, ‘상대주의적 관점’, ‘퓌시스(physis)와 노모스(nomos)의 분리’ 등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그들이 수행한 일 자체가 기본적으로 인간사의 이해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된 일들인데다가, 논쟁이나 소송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상대방의 입장을 상대화하여 깎아 내리고 자신의 입장은 정당화하여 부각시키는 방법과 논리와 관점을 찾아내야 했기 때문이다. 마치 오늘날 고액의 변호사일수록 보다 정교하고 교묘한 논리로 자기 소송의뢰인의 승소를 위해 법률에 대한 기상천외한 해석을 창출해내는 양태와도 흡사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그들의 상당수가 토지를 소유하지 않은 외지인들(프로타고라스는 압데라 출신이고, 고르기아스와 트라쉬마코스는 각각 시칠리아와 칼케돈에서 외교 사절로 왔다가 시대 조류를 간파하고 아테네에 눌러 앉은 사람들이고, 프로디코스는 케오스, 힙피아스는 엘리스, 안티폰은 람누스 출신이다)인데다가 모두가 고액의 수입을 올리는 자들도 아니었음을 고려하면, 일단 그들로서도 그런 일을 적극적인 생계 수단으로 삼고자 했다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런 일로서 그 자체만으로는 그다지 크게 비난 받을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 그러나 아테네의 급격한 상업화와 제국화가 전체 그리스 사회를 해체하는 근본원인이 될 것이라는 것을 일찍부터 간파하고 있었던 플라톤으로서는 그러한 사회경제적 변화를 주도하는 정치 세력은 물론 그것에 영합하여 무책임하게 자기 이익을 좇는 소피스트와 같은 군상들이야말로 반드시 비판 극복되고 타파되지 않으면 안 될 대상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들의 활동이 실제로는 철저히 이기적이고 반공동체적인 일이었음에도 교묘한 논리를 내세워 지혜와 지식의 이름으로 수행되고 있는데다가, 가르침마저 자신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삼았기에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생각 또한 고의건 아니건 간에 당대 기득권 세력들의 정치적 야욕을 위한 선동의 기술과 논리로 활용되면서 민중의 눈과 마음을 어지럽히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급기야 아테네의 진정한 친구이자 ‘지혜로운 사람’인 소크라테스를 처형하는 데까지 이르렀기 때문이다.

* 여기서도 트라쉬마코스는 정의와 관련하여 그러한 피폐한 기득권 세력을 지지하고 합리화하는 입장을 노골적으로 내세우고 있다. 앞으로 제기될 트라쉬마코스의 “정의는 강자의 이익이다‘라는 주장은 오늘날까지도 그 위력을 발휘하면서 현실을 압도하고 있지만, 소크라테스는 이미 그러한 주장이 그 자체로 ‘온 몸과 영혼이 썩고 병들어 있음에도 건강하고 행복하다고 외치는 어리석은 주장’임을 간파하고 있고 그에 따라 세상의 진실을 아는 사람이라면 결코 동의할 수도 지지될 수도 없는 무지로 가득한 거짓된 주장임을 역설하고 있다. 제1권에서의 트라쉬마코스의 주장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논박은 그러한 역설(力說)의 서론이자 발판이 된다.

* 아무려나 이런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소피스트를 바라보는 플라톤의 시선은 일부 사안의 경우를 제외하면 아주 확고하고 매서울 정도로 비판적이고 부정적이다. 오늘날 우리가 소피스트하면 ‘궤변가’로 떠올리는 것도 기본적으로 소피스트에 대한 플라톤의 시선이 갖는 영향력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 역사적 사실의 측면에서도 분명 소피스트들은 당대 아테네 사회의 붕괴를 가속화시킨 책임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그 점을 고려하면 플라톤처럼 그들을 부정적으로 평가할만한 근거는 분명하고도 설득력 있게 존재한다. 그러나 그리스 당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철학사 전체의 관점에서 보면 소피스트의 사상이라고 모두 부정적인 의미만 갖는 것은 아닐 것이다. 실제로 모든 사상을 시대의 아들로 보고 역사를 ‘자유에의 진보’로 해석하고 있는 헤겔(G. W. F. Hegel)은 그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오히려 소크라테스를 철학사의 필연적 진보와 변화를 거부하는 반동적인 사상으로 비판하고, 소피스트야말로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준비한 선구적 사상가로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와 영국의 고전 철학자 케퍼드(G. Kerford)가 소피스트들의 사상을 철학사적 운동의 관점에서 재평가하면서부터는 소피스트 사상을 다시 들여다보고 재해석하려는 경향들이 생겨났고 오늘날 그에 대한 연구 성과도 크게 진전되었다. 참고로 계기가 된 케퍼드의 저서 <소피스트 운동(The sophistic movement)>(김남두 역, 아카넷)은 우리말로도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경향들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는 일단 여기서는 접어두기로 한다.

 

4-1(336b~338b) : 트라쉬마코스의 저돌적 등장과 소크라테스의 당부

 

[336b]

* 드디어 <국가> 1권의 핵심인물의 하나인 트라쉬마코스가 등장한다. 소크라테스와 폴레마르코스의 대화를 지켜보며 수차례 끼어들려다 주위 사람들에 의해 저지당하고 있던 트라쉬마코스는 더 이상 참지 못해 대화에 끼어든다. 우리도 살폈듯이 소크라테스의 논박이 일정부분 논란의 소지가 있음에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폴레마르코스가 트라쉬마코스로서는 크게 못마땅하였을 것이다. 게다가 자신이 목매고 있는 강자들의 입장을 소크라테스가 정면에서 부정하고 있기에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 ‘그는 더 이상 참지 못하고 마치 야수처럼, 혼신의 힘을 가다듬어 찢어 발기라도 하듯이 우리한테 넘벼들더군.’ 여기에서 ‘혼신의 힘을 가다듬어’라고 번역된 συστρέφω(systrephō, twist up, roll up)라는 동사는 사전적으로 ‘야수’(野獸)θηρίον(wolf 336d)에게 쓰일 경우, 야수가 다른 동물을 잡아먹으려 온 몸을 움 추려 들었다가 확 달려들기 직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여기서의 야수는 아마도 늑대일 것이다.(336d 참고)

* ‘찢어발기기라도 하듯’ὡς διαρπασόμενος이란 표현은 소크라테스를 죽음에 이르게 한 당대 주류 세력들과 소피스트들 그리고 아테네인들의 광기어린 폭력적 야수성을 묘사한 것이기도 할 것이다.

* 소크라테스와 폴레마르코스는 ‘무서운 나머지 겁에 질려 있는’δείσαντες διεπτοήθημεν 반면에 트라쉬마코스는 큰 소리를 질러대며φθέγγομαι 저돌적이고도 공격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소크라테스를 대하는 트라쉬마코스의 태도는 논쟁에 임하는 사람으로서는 차마 입에 올릴 수 없을 정도로 폭력적이고 과격하고 무례하기 그지없다. 그에 반해 소크라테스의 모습은 무서운 나머지 놀라 질겁하며 크게 겁을 더럭 내고 있다. 이러한 대조적인 모습은 이 짧은 문맥에서 아주 눈에 띨 정도로 반복해서 묘사되고 있다. 어떤 독자들은 플라톤이 당대 소피스트들의 폭력적이고도 무례한 모습을 보다 극명하게 드러내기 위해 이러한 대조의 방식을 취했을 것이라고 보면서도, 다른 한편 플라톤이 왜 소크라테스를 의연하게 그려내지 않고 트라쉬마코스 앞에서 ‘무서운 나머지 겁에 질려하고’(336b) ‘들으며 질겁하고 바라보며 겁을 더럭 내고’(336d) 게다가 ‘약간 떨면서’(336e)까지 말하는 사람으로 그리고 있는지 의아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소크라테스의 모습은 우리로 하여금 용기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다시 한 번 음미하게 해준다. 사실 어느 누구도 폭력이 두렵지 않은 사람은 없다. 죽음을 앞둔 순교자는 물론 소크라테스도 예외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플라톤은 여기서 인간으로서의 있는 그대로의 소크라테스를 보여줌과 동시에, 질겁하여 겁이 더럭 날 정도로 정말 무섭고 두려운 처지에 있을지라도 결코 굴복하지 않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을 함께 보여준다. 비록 두렵고 무섭지만 소크라테스는 결코 굴복해서도 포기해서도 안 될 진리가 있음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즉 용기는 두려움이 없는 것이 아니라 보다 소중한 것이 있음을 아는 것 즉 앎의 문제인 것이다. 아기를 구하려 불구덩이 속으로 뛰어드는 세상 어머니들 모두는 두려움이 없어서가 아니라 자기 목숨보다도 소중한 것이 있음을 이미 몸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그 두려움을 이겨내는 것이다. 조폭들의 용기는 용기가 아니다. 그것은 자기보다 큰 힘에 굴복하는 비굴함의 다른 표현이다. 진정한 용기는 참된 앎이고 그것이 참된 앎인 한 반드시 실천을 수반한다. 그런 의미에서도 ‘도덕은 앎’이다.

 

[336c]

* 소크라테스와 폴레마르코스의 대화에 대한 트라쉬마코스의 아래와 같은 묘사 또한 과격하고 무례하기 짝이 없다. 허튼 소리φλυαρία(336b), 어리석은 짓εὐηθίζομαι(336c), 실없는 주장ὕθλους λέγειν(336d)

* 트라쉬마코스는 소리를 지르며 소크라테스에게 허튼 소리에 매달려 서로 양보하면서 어리석은 짓을 하고 있다고 비난한다. 그런 연후 정의가 무엇인지 알고자 하신다βούλει εἰδέναι면 ‘묻기만 하지도 논박하고서 뽐내려고만 하지도 말고’μὴ μόνον ἐρώτα μηδὲ φιλοτιμοῦ ἐλέγχων 대답 보다 질문이 쉬우니 질문 대신 정의에 대해 답을 하라’고 요구한다. 소피스트들의 논박은 명예욕(φιλοτιμη)때문임을 스스로 고백하고 있는 셈이다.

* 여기서 ‘양보하다’로 옮긴 동사 ὑποκατακλίνομαι(hypokataklynomai)는 ‘양보하다’의 의미도 가지고 있지만 트라쉬마코스가 힐난의 의미로 그 말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그 말이 갖는 일차적인 의미를 살려 ‘서로에게 굽신거리며’로 옮기는 것이 보다 좋을 듯싶다. 336c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338a에도 ‘양보를 하고서는’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그곳의 원어는 앞의 말과는 다른 ‘받아 들인다’의 의미를 갖는 συγχωρέω(synchōreō) 동사이다.

* ‘대답하는 것보다 질문하는 게 더 쉽다’ὅτι ῥᾷον ἐρωτᾶν ἢ ἀποκρίνεσθαι. 이처럼 트라쉬마코스는 자신은 대답을 잘 하는 사람이지만 소크라테스는 그저 질문만 하는 학생 수준으로 폄하하고 있다. 트라쉬마코스의 말처럼 일반적인 학습 수준에서는 선생은 대답을 잘 하는 것이 덕이고 학생은 질문을 잘 하는 것이 덕이다. 그러나 심각하고 어려운 문제에 직면할수록 질문은 치열하고 끝이 없으며 질문과 대답 모두 결코 쉽지 않다. 수십년을 홀로 질문을 던지며 진리를 깨닫기 위해 수행을 하는 선사들에게 답을 못하고 질문만 한다고 힐난할 수는 없다. 어려운 문제일수록 질문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 우선은 자신의 무지를 숨기지 않고 고백하려는 용기가 있어야 하고 그 무지를 벗어나려는 열망이 있어야 한다. 진리는 그러한 열망과 용기에 대한 보답이자 그의 삶을 인도하는 빛이다. 철학의 정신은 섣부른 확신과 비약을 거부하고 불확실한 독단과 아집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이자 의심이다. 물론 결단해야할 순간마저 끝없이 질문만 던지는 것도 철학의 정신은 아니다. 그 결단의 순간을 알고 미련 없이 결단을 감행하는 것 역시 철학의 정신이다. 소크라테스는 평생 ‘무지의 지’를 설파했지만 그는 죽음을 무릅써야할 순간을 알고 있었고 미련 없이 그 죽음을 받아 들였다.

 

[336d]

* 트라쉬마코스는 정의가 무엇인가에 대해 마땅한δέον 것, 유익한것, 이득이 되는 것, 이로운 것, 이익을 주는 것 등으로 대답하지 말고 ‘분명하게 정확하게’σαφῶς καὶ ἀκριβῶς 답해 달라고 윽박지르듯 말한다.

* 트라쉬마코스가 나열한 ‘마땅한δέον 것’은 앞서 나온 ‘마땅히 갚을 것’τὰ ὀφειλόμενα의 다른 표현이고, ‘이득이 되는 것’τὸ λυσιτελοῦν, ‘이로운 것’κερδαλέος, ‘이익을 주는 것’συμφέρον 또한 앞서 나온 ‘유익한ὠφέλιμος 것’의 다른 표현이다. 그 말은 모두 거의 같은 의미를 가진 다른 표현들이다. 트라쉬마코스가 보기에 소크라테스가 폴레마르코스와의 대화과정에서 정의에 관해 언급하고 있는 것들은 단계마다 표현만 다를 뿐 ‘모두 그게 그것들’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나중에(338c) 정의에 대해 대답해달라는 소크라테스의 요구에 대해 트라쉬마코스도 ‘이익’τὸ συμφέρον이라는 말을 써서 답을 한다. 뭔가 앞뒤가 맞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이 문맥을 잘 들여다보면 트라쉬마코스가 불분명하고 부정확하다고 불평을 터트리는 까닭은 ‘정의가 이익’이라는 말이 잘못된 것이어서가 아니라, ‘정의가 이익을 주는 것’이라고 말을 하면서 결정적으로 소크라테스 자신 그 이익이 ‘누구의’ 이익인지를 언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트라쉬마코스 의 마음속에는 이미 정의는 이익이되, 강자의 이익이라는 것이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336e]

* 소크라테스는 그 말을 듣고 질겁ἐκπλήσσω하여 겁이 더럭 났다ἐφοβούμην고 말한다. 그리고 그가 자기를 보기 전에 자기가 먼저 그를 보지 않았더라면 자기는 말문이 막혔을 것이라고 말한다. 소크라테스의 그 말은 ’사람이 늑대를 보기 전에 늑대가 사람을 먼저 보게 되면, 입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당시의 미신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그 말은 아테네 사람들이라면 모두가 알고 있을 정도로 널리 알려져 있는 말이다. 이것은 소크라테스가 트라쉬마코스를 늑대 같은 자로 여기고 있음을 보여준다.

* 플라톤은 <소피스트>(231a)에서 늑대 이야기를 꺼내어 개와 비교하면서 소피스트와 철학자의 유사성을 거론하고 있다. 늑대와 개는 비슷하지만 늑대는 분별없이 가장 사납기만 한 동물이고 개는 사납지만 길들여져 분별을 가지고 있는 동물이다. 사람에게 가장 위해를 끼치는 것은 무지한 자인지 여부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그런 자들로부터 오기 보다는 언뜻 분별이 어려운 아류들 즉 내 곁에서 비슷한 짓을 하는 자들로부터 온다. 소피스트들은 진짜 무지하고 야만적이지만 겉으로는 철학자인 양 가장하여 대중들 곁에서 그들의 생각을 좀먹고 있다. 마치 거울의 상이 실물과 똑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실물과 모든 면에서 정반대이듯이 소피스트는 철학자와 모든 면에서 정반대인 자들인 것이다. 참고로 플라톤은 앞으로 우리가 살필 제2권 375c에서 수호자의 자실을 개의 본성에 비유하여 이야기하고 있다.(<소피스트>. 이창우 역주, 59쪽 참고)

* 소크라테스는 황금을 찾을 때도 서로 양보하지 않고 찾는데 그 보다도 더 귀한 정의를 찾는데 서로 지각없이 양보하며 일을 망치려했겠냐 그리 생각하지 말고 다만 능력δύναμισ 이 미치지 못해 그런 것이니 유능한δεινὸν 당신이 가혹하게 대접하는 것χαλεπαίνεσθαι 보다 동정을 베푸는 것ἐλεεῖσθαι이 더 합당할 것이라 말한다. 이 말은 황금만을 쫓는 소피스트들의 태도는 진리를 쫓는 철학자들의 열성에 아에 근본적으로 비할 바가 못 된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나중에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를 논파한 후 그를 가혹하게 대하지 않고 동정어린 눈길을 보낸다.

* ‘유능한’δεινὸν은 ‘능력 있는’ ‘똑똑한’의 의미도 있지만 ‘두려움을 안길 정도로 힘센’의 의미도 있다.

 

[337a]

* 소크라테스의 질문은 자신의 무지에 대한 깨달음(무지의 지)에서 출발하는 질문(ἐρωτᾶ)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문답dialogos을 통해 상대의 무지를 짚어내 그 무지를 깨우쳐주기 위한 질문이기도 하여 논박ἔλεγχος으로 불린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만 보면 논박을 당하는 사람으로서는 자신의 무지가 들통 나 부끄럽기도 하고 상대가 답을 빤히 알면서도 시험 삼아 질문하는 것처럼 여겨져 시치미 떼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특히나 웬만한 것은 다 안다고 교만을 떠는 소피스트들로서는 자기들과 비슷한 처지에 있다고 여기고 있는 소크라테스가 그저 질문만 하고 있는 것은 그 자체로 그들의 비위를 건드리는 일이었을 것이다. 소피스트 트라쉬마코스가 여기서 소크라테스의 그러한 화법을 상투적인εἰωθυῖα 시치미 떼기εἰρωνεία(eirōneia, irony))라고 비난하는 이유도 그곳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소크라테스적 아이러니는 무지의 자각을 통해 상대로 하여금 앎에 대한 보다 강렬한 열망을 갖게 하고 함께 진리를 탐구하기 위한 소크라테스 특유의 토론 방식에서 나온 말이다. ‘무지의 지(知)’가 상대의 무지를 드러내고 그것을 계기로 참된 앎을 향한 탐구가 시작된다는 점에서 그 후 역설(逆說)을 함축하는 아이러니로 불리게 된 것이다. 그렇게 보면 εἰρωνεία(eirōneia)를 시치미로 볼 것인가 진리탐구의 한 양태로 볼 것이냐는 문답과정에 참여하는 마음가짐과 목적이 나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냐 진리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냐에 달려 있다할 것이다. 복종이란 이름을 가지고 명예로울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진리에 대한 복종’뿐이다. 철학자는 오직 진리에 복무하고 진리에만 복종할 의무를 갖는다. 에이로네이아로 표상되는 소크라테스의 겸손은 위장된 겸손이 아니라 위와 같은 진리 앞에서의 겸손인 것이다.

* 그런데 이와는 별개로 소크라테스가 혹시 모든 것을 알고 있었던 사람은 아니었을까 라는 물음은 여전히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왜냐하면 소크라테스는 평생 동안 무지의 지를 내세워 상대방의 주장의 허술함을 폭로하는데 힘을 썼을 뿐 자신의 생각은 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가 적극적으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가를 그 전모를 너무도 알고 싶어 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스승이 세상을 떠난 후 스승 소크라테스의 논구를 있는 그대로 되살려 내어 소크라테스의 마음을 읽어내려 했고 그러한 일을 거듭하면서 차츰 소크라테스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는지를 하나 둘 깨닫게 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전기 대화편에서 중후기 대화편으로 이행되면서 소크라테스의 입을 통해 조금씩 펼쳐지는 적극적인 주장 내용들은 스승 소크라테스의 가르침을 드러내려는 플라톤의 치열하고도 열정어린 탐구의 결과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그것들이 소크라테스의 원래 생각을 담아낸 것인지 아니면 플라톤 자신의 생각에 불과한 것인지는 정확히 분간해낼 수는 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플라톤은 이제 더 이상 스승 소크라테스처럼 ‘무지의 지’만을 이야기하고 있지 않고, 그것이 소크라테스의 생각인지 아닌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적극적으로 뭔가를 이야기하려 한다는 점이다. 마침내 플라톤은 서서히 고뇌어린 탐색의 시간을 보낸 후 스승 소크라테스를 넘어서서 시대 현실의 모순을 타파하기 위한 그 자신의 적극적이고도 새로운 지적 여정을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가 지금 살피고 있는 <국가> 제1권은 그 자신의 그러한 지적 도전과 이행을 아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전기 대화편의 모든 특징들은 물론, 점차 그곳에서 벗어나는 모습들을 함께 보여주면서, 제2권 이후의 논의가 <고르기아스>, <파이돈>, <에우튀프론>, <프로타고라스>, <향연>, <라케스> 등에서 살피고 모색한 내용들을 종합하고 거기에 새로운 주장을 더해가는 형식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될 것임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