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 강해 ⑤ [이정호 교수와 함께하는 플라톤의 『국가』]

Spread the love

플라톤의 <국가> 강해

 

*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플라톤 대화편의 고전 그리스어 텍스트의 모태는 19세기 초 독일의 고전문헌학자 베커(I. Bekker)가 유럽의 유수 도서관들을 찾아가며 그곳에 산재해있었던 수많은 중세 양피지 사본들(vellum codex)을 비교 교열하여 각고의 노력 끝에 여러 해에 걸쳐 펴낸 이른바 베커판 교정본(校訂本)(1816-1823)이다. 이 후 여러 종류의 추가적인 교정본들이 후속해서 나왔는데 그 가운데 플라톤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표준적인 텍스트로 채택되고 있는 교정본이 1902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펴낸 <플라톤 전집>(Platonis Opera) 이른바 버넷(J. Burnet)판 교정본이다. 그런데 이 책이 출간된 지 101년 후인 지난 2003년에 그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한 새로운 옥스퍼드대학 판 교정본(S. R. Slings 편찬)이 출간되었다. 이 새 교정본을 보면 <국가>의 고전 그리스어 텍스트 역시 여러 곳이 수정되어 있다. 그런데 수정한 내용들이 대부분 소소한 것들이라 내용상 크게 주목할 만한 부분은 많지 않다. 그러나 어찌 되었건 기초 원전 텍스트가 달라진 터라, 1997년 버넷판을 텍스트로 삼아 <국가> 우리말 원전 역본을 펴낸 박종현 선생도 이러한 수정 부분들을 꼼꼼하게 반영하여 2003년에 <국가> 개정증보판을 새로 펴냈다. <국가> 박종현 역본의 본문 내용 중 *표 표시를 한 부분들이 새로 수정된 부분인데, 책 말미를 보면 달라진 부분들에 대한 고전어 텍스트 상의 근거가 부록으로 함께 실려 있다.

* 폴레마르크스가 소크라테스 일행을 불러 세워 체류를 권하는 부분[327c]에도 그러한 수정 내용이 들어 있다. 1997년판 박종현 역본에는 “그렇다면 아직도 한 가지가 남아 있지 않겠소? 여러분으로 하여금 우리를 보내 주어야만 되게끔 설득할 수 있을 때의 경우가 말이오.”로 번역되어 있지만, 2005년 개정판 역본에는 “그러면 아직은 여러분으로 하여금 우리를 보내 주어야만 되게끔 우리가 설득하게 될 경우가 남아 있지 않소?”로 바뀌어 있다. 이것은 버넷판 텍스트에서 두 단어로 분리되어 실려 있는 ἓν λείπεται(한 가지가 남아 있지 않겠소?)라는 구절이 새 텍스트에서는 ‘하나’의 뜻을 가진 ἓν을 후속 동사에 붙여 그냥 ελλείπεται(남아 있지 않겠소?) 한 단어로 수정된 데에 따른 것이다. 내용 상 ‘한 가지’라는 뜻이 없어진 것이다. 사실 고전학자들 사이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이 부분을 ἓν λείπεται로 볼 것이냐 ελλείπεται로 볼 것이냐 논쟁이 있었는데 결국 새 교정본에서는 ελλείπεται쪽을 택한 것이다. 이렇듯 고전학자들은 텍스트 상의 단어 하나하나를 따져가면서 과연 어떤 것이 플라톤 당대의 텍스트와 일치하는 것인지를 두고 지금도 씨름하고 있다. 그런데 이 수정 부분은 내용적으로도 왜 그런 수정이 이루어졌는지 눈여겨 볼만한 사안들이 포함되어 있다. 전후 내용을 보면 폴레마르코스가 소크라테스 일행을 불러 세워 대짜고자 ‘우리가 몇 명인지 아시냐? 우리 보다 더 강하시면 청을 물리치고 시내로 가시고 아니면 이곳에 머물러 달라’는 식으로 요청하자 소크라테스는 설득이라는 방법이 있는데 왜 그리 무턱대고 강권하느냐고 반문한다. 이에 폴레마르코스는 ‘들으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설득이 통하겠느냐’는 식으로 다시 반문하고 글라우콘이 ‘결코 그럴 수는 없다’고 대답한다. 앞서도 언급했지만 이 장면은 플라톤이 앞으로 전개될 트라쉬마코스와의 만남을 예고하는 일종의 복선으로 여겨지는 장면이다. 트라쉬마코스는 소크라테스의 말을 가로 막고 나선 다음, 소크라테스의 말은 아예 귀담아 들으려 하지 않고 자기주장만 펴다가 소크라테스의 비판에 밀려 겉으로는 고분고분해지지만 속으로는 끝까지 설득되지 않은 채 자기 입장을 고수하는 사람으로 나온다. 이 장면에서도 폴레마르코스는 마치 트라쉬마코스처럼 처음부터 막무가내 힘으로 길을 막고 서서 자기 요구를 내세우고 있고 소크라테스는 설득의 방법도 있다고 반문하지만 그는 아예 설득할 받아들일 생각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고 대꾸한다. 이럴 경우 과연 소크라테스로서는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설득이 받아들여질 수 없다면 그냥 강압에 밀려 폴레마르코스의 요구를 들어줄 수밖에 없는 것일까? 이곳의 경우처럼 함께 구경을 하자는 수준의 강권이야 크게 문제 삼을 것은 없겠지만, 트라쉬마코스의 요구처럼 정의와 행복의 관계를 묻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서는 결코 그럴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는 결코 굴복을 거부하고 마땅히 그에 맞서 싸우는 방법 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에 대한 설득을 접고 제2권부터 그의 입장을 압도하고 남을 만한 대안적 주장을 제시한다. 트라쉬마코스는 자신의 주장이 완전히 논파되었음에도 속으로는 여전히 근본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를 통해 ‘아집이란 비록 논파는 될 지라도 결코 파괴되는 것이 아님’을 뼈저리게 절감하고 있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트라쉬마코스 부류의 주장을 물리칠 수 있는 방법이란, 합당하고 설득력 있는 근거를 내세워 사태를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 주장을 받아들이게 하여, 그 주장의 정당성을 사회적 변화의 동력으로 관철시키는 방법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것이 <국가> 제1권에서 플라톤이 말하고자 하는 제2권 이하에 대한 철학적·문학적 함의이다. 이렇게 보면 이곳에서도 폴레마르코스의 강권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소크라테스에게 설득 한 가지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다. 설득 한 가지만 남아 있다면 그게 실패할 경우 강제에 따를 수밖에 없는 것이 된다. 이것은 소크라테스의 입장에도 맞지 않는다. 그리고 이 부분이 앞으로 전개될 상황을 예고하는 복선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라면 더더욱 앞뒤가 맞지 않는다. 아마도 이런 이유로 해당 부분 텍스트의 수정이 이루어졌을지 모른다. 그렇게 보면 그것은 매우 의미 있는 합당한 수정이 아닐 수 없다.

* 그래서 아테이만토스는 폴레마르코스가 강권하는 모습에 당혹스러움을 느꼈는지 바로 대화에 끼어들어 다른 방식으로 소크라테스의 체류를 권한다. 아테이만토스의 말에 소크라테스가 새로운καινόν 것이라고 관심을 보이자 폴레마르코스도 그제야 상황을 깨닫고 그의 말을 거들고 글라우콘도 소크라테스에게 머물기를 권한다. 폴레마르코스도 최소한 소크라테스가 젊은 사람들과 대화 나누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소크라테스가 서둘러 돌아가려한 것으로 보아 시간은 저녁 무렵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폴레마르코스의 제안대로 축제 현장이 아니라 그 전에 일단 저녁식사를 하기 위해 폴레마르코스의 집으로 간다. 그곳에서 소크라테스는 폴레마르코스의 아버지 케팔로스와 만나 인사를 나눈다.

 

  1. 케팔로스와 대화(328b~331d)

 

2-1(328c-328e): 소크라테스 케팔로스를 만나 노년의 즐거움을 묻다.

 

[328c]

* 그런데 폴레마르코스가 소크라테스에게 일행의 수를 내세워서까지 가는 길을 막아선 이유가 단지 마상 횃불경주와 철야제 구경을 위한 것이었다고 생각하기에는 아무래도 어색해 보인다. 사실 폴레마르코스의 제안에 따라 집으로 오게 되었지만 전후 상황을 보면 케팔로스가 아들 폴레마르코스를 시켜 구경 안내를 핑계로 소크라테스를 집으로 불러들인 것이라고 봐도 이상할 것이 없다. 케팔로스 이외에 여러 사람이 그곳에 함께 있는 것도 눈여겨 볼 일이다. 사실 당시 아테네의 유명 정치가나 부유층의 집은 소피스트들을 비롯해서 당대 많은 유력 인사들이 드나들거나 머무는 일종의 고급 사교 무대였다. 페리클레스의 집에 수많은 소피스트들이 아예 식객으로 늘 머물러 있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일이다. 캐팔로스가 소크라테스에게 친구나 친척처럼 자주 찾아달라고 말하는 것도 다른 소피스트나 유력인사들이 그러하듯 소크라테스도 그러기를 바랐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케팔로스는 당대 아테네 여러 유력인사들은 자기 집에 자주 드나드는데 유독 소크라테스만은 그리하지 않아 서운함을 느꼈을 것이다. 케팔로스는 소크라테스를 기다렸다는 듯 반기면서 ‘실은 자주 찾아와야만 한다.’χρῆν μέντοι.(328c), ‘이제 더 자주 당신이 이리로 와야 한다.’νῦν δέ σε χρὴ πυκνότερον δεῦρο ἰέναι.(328d)는 말로 반복해서 강권하고 있는데 그의 이러한 모습도 그러한 서운함 때문일 것이다.

* ‘내가 오랜만에 그 분을 뵌 탓이기도 하지.’διὰ χρόνου γὰρ καὶ ἑωράκη αὐτόν. 케팔로스가 아주 늙어보였다는 앞의 말과 더불어 이 말은 소크라테스와 케팔로스가 서로 상당 기간 보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사실 소크라테스는 다른 소피스트들이나 유명 인사들처럼 케팔로스 같은 유력 인사들 집에 드나들기를 좋아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케팔로스 역시 자기가 기력이 있으면 소크라테스를 찾아갔을 것이라고 말은 하고 있지만 지난날 그 긴 시간 동안 소크라테스를 제 발로 찾아간 적도 없어 보인다. 어쩌면 케팔로스는 거류외인으로 아테네로 건너와서 부를 쌓고 여유자적하고 품위 있는 삶을 보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소크라테스에게 과시하려고 폴레마르코스를 시켜 그를 불러들였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플라톤은 그러한 케팔로스의 모습을 통해 크게는 상업주의, 부와 가난의 문제를 포함해서 당대 신흥 기득권 부유층의 태도와 사고방식을 보여주기 위해 이미 고인이 된 케팔로스를 시대착오를 무릅쓰고 하나의 대표적 인물로 대화편에 등장시켰을지도 모른다. 실제로 플라톤의 대화편의 주요 등장인물들 가운데 시인과 소피스트, 장군 등 수많은 사람들 이외에 거류외인이자 상공업에 종사하는 인물은 케팔로스가 유일하다.

* 이런 측면에서 보면 케팔로스의 등장은 <국가> 전체의 구상 하에서 주도면밀하게 도입부를 구성하고자 하는 플라톤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실제로 <국가> 제1권은 당대 신흥 부유층인 케팔로스의 등장과 그의 훈계조의 과시로부터 시작하여, 폴레마르코스의 입을 통해 아테네의 주류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 시인들의 주장으로 이어진 후, 트라쉬마코스의 거친 입을 통해 또 다른 당대 신흥 지식인 세력으로 크게 부상한 소피스트의 도발적인 도전을 그려냄으로써 그 극치에 이른다. 이처럼 대화의 목적과 동기는 물론 등장인물의 특징과 성격을 보여주기 위한 플라톤의 아주 섬세하고도 주도면밀한 문학적 철학적 플롯은 여기서도 빛을 발한다. 이런 점에서도 <국가> 제1권은 <국가> 전체를 이해하기 위한 길잡이가 된다. 정의의 문제를 둘러싼 당대의 도전과 도발들을 어떻게 극복하고 대처해야할 것인지에 대한 원초적인 문제의식과 실마리를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후에도 계속 강조하게 될 것이다.

* ‘머리에 제관을 쓰신 채ἐστεφανωμένος…. 뜰에서 막 제물을 바쳤기 때문이네’τεθυκὼς γὰρ ἐτύγχανεν ἐν τῇ αὐλῇ. 여기서 제물을 바친 대상은 제우스임이 분명하다. 아테네인들은 집 뜰(ἑρκος)에 제단을 만들어 제우스를 가정을 지키는 신으로도 섬겼다. Ζεὺς ἑρκεῖος는 이 경우에 붙여진 제우스의 이름이다. 이처럼 집에서 제단을 꾸미고 제사를 드리는 모습은 아테네인들의 일상적 삶의 일부였고 그 대부분은 오늘날도 그러하듯이 개인과 가정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이 전란의 혼란기에 일반 대중이라면 몰라도 아테네 사회 지도층인 케팔로스가 제사를 드리면서 공동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저 재산에 기대어 자신의 안녕과 사후 구원에 관심을 쏟는 모습에 비판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이것은 나중에 호메로스 시가와 시인들에 매달려 있는 아테네인들의 종교적 세계관에 대한 비판과도 연결된다.

 

[328δ]

* ‘적어도 내 경우에는 육신과 관련된 다른 즐거움이 시들어짐에 따라 그 만큼 대화에 대한 욕망과 즐거움이 증대된다는 사실을 잘 아셔야 한다.’ὡς εὖ ἴσθι ὅτι ἔμοιγε ὅσον αἱ ἄλλαι αἱ κατὰ τὸ σῶμα ἡδοναὶ ἀπομαραίνονται, τοσοῦτον αὔξονται αἱ περὶ τοὺς λόγους ἐπιθυμίαι τε καὶ ἡδοναί. 케팔로스의 이 말은 정신적 즐거움이 육체적 즐거움에 반비례할 뿐만 아니라 육체적 즐거움에 부차적인 것임을 은연 중 내포하고 있다.

* ‘잘 아셔야하오’εὖ ἴσθι, 젊은이들과 ‘어울리시오’σύνισθι, 자주 ‘찾아주시오’φοίτα 이곳 케팔로스의 말에는 명령형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고대 그리스어 긍정 명령형의 용례가 모두 강제의 성격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긴 하지만 케팔로스의 말에는 전체적으로 연장자임을 내세워 소크라테스를 내려다보며 훈계조로 강권하는 분위기가 느껴진다.

* 여기서 ‘다른’ἄλλαι이라는 표현은 노인이 되어도 시들지 않는 다른 종류의 즐거움도 있음을 시사한다. 하긴 늙어서도 맛있는 것을 찾거나 다른 위안거리에 집착하는 일은 시들지 않는다. 그래도 이 표현은 그냥 이러 저러한 육체적 즐거움들을 나타내는 용도로 쓰였다고 보는 것이 무난할 것이다. 만약 직접적인 ‘다른’의 의미로 썼다면 여기서 ‘시들어가는 즐거움’이란, 전후 문맥상 성적 쾌락일 것이다.

* 아테네에서 결혼은 사랑의 결실이라기보다는 대체로 출산을 위한 방편으로 부모와 친척들의 중매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성적 쾌락을 위해 외도를 일삼거나 연애 대상으로 따로 정부를 두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었다. 데모스테네스는 귀족이라면 적어도 2-3명의 정부는 있어야한다고까지 말했다고 전해진다. 부부간에 성적인 교감과 정신적 유대의 일치와 상승을 꿈꾼다는 것은 거의 상상하기 힘든 일이었다. 사회적 관습상 부부간의 육체적 쾌락과 정신적 쾌락의 공존은 구조적으로 이미 기대할 여지가 없다. 오뒷세우스와 페넬로페 부부간의 일편단심과 사랑은 말 그대로 신화적 로망에 불과하다. 요컨대 여성은 장차 가사와 출산, 육아를 위한 일종의 도구이자 재산 정도로 여겨졌던 것이다. 플라톤이 주장한 수호자들 간의 처자공유는 기본적으로 가족이기주의, 귀족 내 자기 혈족주의가 빚어내는 반공동체적 경향에 대한 거부감에서 비롯된 것이기는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출산을 주목적으로 한 당대의 기계적인 결혼관을 기저에 깔고 있는 것이라 할 것이다. 플라톤이 능력에서 여성을 차별하지 않은 것은 당대의 의식 수준으로는 상상하기 힘든 가히 혁명적인 발상이었기는 하나 인격체로서 여성의 성적 자의식과 자기정체성에 관해서는 여전히 시대적 무지의 틀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328e]

* 소크라테스도 노인과 대화하는 걸 기뻐한다고 말한 후 케팔로스의 삶의 여정에 관해 물으면서 특히 ‘노년의 문턱에 들어선 것이 어려운 고비인지 의견을 구한다.

* 육신과 관련된 다른 즐거움이 시들어짐에 따라 그 만큼 대화에 대한 욕망과 즐거움이 증대된다는 케팔로스의 말에 소크라테스도 ‘실은 저로서도 많이 연로하신 분들과 대화하게 되는 걸 기뻐합니다.’χαίρω γε διαλεγόμενοςτοῖς σφόδρα πρεσβύταις.라고 호응한다. 앞에서 케팔로스가 ‘대화에 대한 욕망과 즐거움’이고 말했을 때 대화의 원어는 logos이고 케팔로스의 말을 받아 소크라테스가 말한 대화의 원어는 dialogos이다. 물론 dialogos에는 일반적인 대화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지만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가 logos라고 표현한 것을 염두에 두고 아마 중의적으로 이 표현을 썼을 것이다. 케팔로스가 원하는 것은 담소이지만 소크라테스가 바라는 건 문답이다. 케팔로스는 소크라테스적 문답을 감당하기에는 이미 기나긴 인생경험을 통해 생각이 굳어진 사람이기는 하지만 그런 노인들의 생각은 경륜의 측면과 함께 아집의 성격도 함께 가지고 있다.

* ’들어서 알아야한다‘에 쓰인 πυνθάνομαι는 ‘듣거나 물어서 아는 것(to learn by hearsay or by inquiry)’을 의미한다. 케팔로스는 앞서 소크라테스에게 훈계조로 강권하다시피 말을 한다.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에게 노년의 삶에 대해 배우되 단순히 수동적으로 듣기만 하는 방식이 아니라 묻고 따지는 방식도 병행해서 배우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 ‘노년의 문턱’’ἐπὶ γήραος οὐδῷ이라는 말은 <일리아스> 22권 60, 24권 487에서 처음 나타나는 어귀로 부양자가 없이는 따로 살아가기 힘든 단계의 노년 시기를 나타내는 말이다. 인간은 출생의 문턱을 넘어 이생을 살다가 노년의 문턱을 넘어 다른 세계로 떠나는 여행자로 여겨진다. 케팔로스는 아테네 몇 안 되는 부유층으로 집도 여러 채를 가지고 있었지만 지금은 노년의 문턱을 넘어 장남인 케팔로스의 부양을 받으면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어르신께서 어떻게 알려 주실 것인지’ἢ πῶς σὺ αὐτὸ ἐξαγγέλλεις. 여기서 쓰이고 있는 ἐξαγγέλλεις는 무대 뒤에서 연극의 진행 상황을 말로 알려주는 ‘전달자’를 뜻하는 연극용어 ἐξάγγελος를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소크라테스는 케팔로스에게 인생이라는 연극 무대에서 노령의 의미를 알려주는 전달자 역할을 부탁하고 있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